Daybreakin Things
※ 들어가기에 앞서, 구체적으로 어떤 문제가 나왔는지 등에 대한 정보는 공유하지 않습니다. 아래 있는 내용은 이런 면접 준비하는 분들에게는 어느 정도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내용 위주로 작성하였습니다. 괜히 잘못했다가 NDA 조항에 걸리면...(먼산)
스웨덴에 있을 때 지원서를 보낸 것이 5월 말, 연락을 받은 것은 6월 중순, 그리고 최종 면접 날짜는 오늘이었다.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 유수 IT 기업들의 면접은 소위 '기술 면접'이라는 형태로 진행되는데, 간단(?)한 알고리즘 문제를 주고 그 풀어가는 과정, 코딩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구글이 다른 회사보다 면접에 나오는 문제 난이도가 어렵다는 얘기도 들었고 해서 꽤 긴장하고 있었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기초를 충실히 하면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다' 정도가 되겠다.;; 비록 경시대회 출전도 거의 안 해봤고 이런 종류의 알고리즘 문제를 푸는 게 익숙하지는 않았지만, 카이스트에서 Problem Solving 수업을 들었던 것이 큰 도움이 되었다.1 위에서 말한 기초라 함은 학부생 레벨이라면 data structure만 확실하게 잡아도 반은 먹고 들어갈 것이다.
면접은 총 2시간 동안 진행되었고, 두 개의 다른 팀에서 한 명씩 나와 1시간씩 일대일로 면접이 이루어졌다. 꼭 정해진 틀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처음에는 비교적 가벼운 이야기(이력서에 있는 내용 물어본다거나)로 분위기를 부드럽게 하고, 2개 정도의 알고리즘 문제를 푼 다음 구글에 대해 알고싶은 것 아무거나 질의응답하는 식이었다. 두 면접관 모두 첫 문제는 비교적 쉬웠고 두번째 문제는 비교적 어려웠다.
일단 첫번째 요구사항을 해결하면 점점 더 어려운 요구사항이 붙는데, 첫번째 문제들의 경우 모두 어느 정도 수준까지 레벨(?)을 올릴 수 있었으나, 두번째 문제들의 경우 다 완성하지는 못했다. 특히 첫번째 면접관이 냈던 두번째 문제의 경우, 기초적인 정의를 하나 빠뜨리는 바람에 그 정의를 찾느라 꽤나 오랫동안 삽질을 해서 시간 내에 다 풀지 못했다. (1차 끝나고 쉬는 시간에 '이렇게 하면 될 것 같은데...'까지는 답을 찾았지만 이미 지나간 버스...-_-) 두번째 면접관의 두번째 문제는 쉽게 할 수 있는 걸 너무 어렵게 빙빙 둘러가는 바람에 시간이 조금 걸렸지만 기본 접근 방법이 맞았기 때문에 힌트를 받고 잘 일반화해서 구체적으로 알고리즘을 설명까지 하고 끝낼 수 있었다. (원래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직접 구현까지 해야 하는 것인데, 음, 제한된 면접시간 내에 완벽하게 구현하기는 쉽지 않은 문제였던 것 같다.)
이런 면접을 봤던 분들이 항상 얘기하듯 중간에 조금씩 막히는 부분이 있더라도 지금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계속 말하면서 대화를 이어나가는 게 중요한 것 같다. 설령 그렇게 튀어나온 아이디어가 틀렸다고 할 지라도 그게 어떻게 해서 문제가 되는 것 같다라든가 하는 것들을 잘 설명하다보면 시간이 금방 간다(?). -_-; 그리고 자기가 남한테 뭔가 설명해주는 것에 자신이 없는 사람이라면 친구랑 같이 연습해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다. 충분히 문맥적으로 알아들을 것 같더라도 면접관들이 항상 확실한 설명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어쨌든 개인적으로 느끼는 만족도는 70~80% 수준. 물론 면접관들이 어떻게 느꼈을지는 모르겠지만. 얼른 결과가 나왔으면 좋겠다;;
수업이 굉장히 특이하게 진행되는데, 숙제로 내준 알고리즘 문제들을 수업 시간에 돌아가면서 자기가 어떻게 풀었는지 설명하는 식이다. 오답이든 정답이든 모두 말로 풀어서, 칠판을 이용해서 교수님과 다른 학생들이 알아듣도록 설명해야 하므로 이러한 면접을 준비하는 데 굉장히 도움이 된다. ↩
이 글은 아침놀님의 2008년 7월 17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요 며칠 새 있었던 일이다. 지금 사는 집에 이사 온 게 1년 반이 되었는데, 이사올 때 전에 살던 집에서 쓰던 ISP를 그대로 옮겨와 쓰다가 그 업체가 하나로통신에 인수되었다. 계약은 그대로 유지가 되고 회사만 바뀌었는데, 3년 약정이 얼마 전에 끝났던 것이다. 사실 우리 집에선 특별히 문제가 있거나 이것보다 엄청나게 싸고 더 좋은 게 나오지 않는 이상 뭐든지 오래오래 쓰는 편이라서, 3년 약정이 끝났는지도 모르고 잘 쓰고 있었는데, 며칠 전에 어미니한테 전화가 한 통 걸려왔다.
내용인즉슨, 지금 쓰고 있는 하나로통신에서 LG파워콤으로 바꾸면 서비스도 좋아지고 뭐 6개월 무료 혜택에 통장에 9만원 현찰 입금이 되고 어쩌구 하더라는 것이다. 우리 어머니는 이런 전화가 걸려오면 모든 조건을 아주 정확하고 세세하게 따지시기 때문에 꽤나 한참 동안의 전화 통화 끝에, "3개월 무료"란 말이 첫 3개월 연속 무료가 아니라 첫달 무료, 12개월 후 무료, 26개월 후 무료라는 것과, 처음 설명할 때 6개월 무료인 것처럼 얘기했던 것은 9만원 입금을 포함해서 얘기했던 것이며, 가격이 한달 2만7천원이라는 것은 반드시 롯데카드를 써야만 그렇고 일반 계좌이체로 하면 3만원이며, 결국 3년 약정을 해야 혜택을 받을 수 있더라는 것을 알아내셨다. -_-;;
게다가 어머니께서 특히 화를 내셨던 부분은, 어머니가 이렇게 꼬치꼬치 따지고 들자 텔레마케터가 "6개월 동안 쓰신 후 본사로 전화해서 다른 걸로 바꾸겠다고 하면 가격을 더 낮춰서 쓰실 수 있습니다"라고 한 부분이다. 그래서 어머니 왈, "그럼 나처럼 그렇게 따지지 않는 사람들은 그만큼 더 내고 쓰는 것 아니냐. 당신이 책임지고 맡아서 해줄 수 있느냐"라고 하니 결국 "요령만 알려드리는 겁니다"라더란다. -_-;;;;
아무튼 한 번 바꿔보자고 해서 오늘 기사가 왔다. 전화 상으로는 무슨 모뎀을 설치하고 어쩌고 하는 것처럼 그러더니, 기사한테 내가 우리집이 어떤 구조로 인터넷을 연결해서 쓰고 있는데 그럼 정확히 어떤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냐고 물어보니 아저씨 왈 "어떤 회사를 써도 이 아파트에 결국 다 100M 회선으로 들어오는 건 맞고, 자기가 하는 건 어느 통신사로 연결되는지 선만 바꿔끼우는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어머니께서 6개월 후 본사에 전화하면 요금을 내릴 수 있다고 한 부분을 물어보니 절대 그런 일이 없다는 것이다. -_- 아저씨 말로는 파워콤이 더 장비가 최신이라 좀더 좋고 어쩌구...;; 하지만 내가 물어본 해외망 접속 속도에 대해서는 속시원한 대답을 못하더라.
결국, 다 필요 없고 지금 쓰던 것 잘 쓰고 있고, 그렇다고 서비스 품질이 월등하게 차이나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가격이 더 싸지는 것도 아니고(현재 하나로통신도 똑같이 2만7천원 납부 중), 지금 시점에서 새로 3년 약정하면 혹시나 나중에 해지할 일이 생겼을 때 위약금 물어야 하니 그냥 가라고 했다. 어머니의 말빨에 계약서 보여주지도 못하고 돌아갔다.;;
그 와중에 기사 아저씨의 설명을 들으니 어머니한테 전화했던 텔레마케터는 LG파워콤이나 하나로통신 어느 쪽의 소속도 아니고, 중간에서 고객정보를 받아 통신사에 가입을 시켜주고 그 가입시켜준 댓가로 한 가구당 10~15만원씩 받아먹는 중간 TM업체란다. 우리조차 까맣게 잊고 있던 3년 약정 초과를 귀신같이 알고 전화해서 다른 통신사로 바꾸게 하고 실적을 올리려고 했던 것이다. 생각해보면 기분나쁜 일이 아닐 수 없는 게, 우리 집이 가입할 때 제공한 모든 개인정보(어머니 휴대폰 번호부터 시작해서...)가 하나로통신과 TM업체와 LG파워콤 사이에서 다 맴돌고 있다는 뜻 아닌가. 게다가 LG파워콤은 정식 가입도 하지 않았는데 말이다.
그리고 6개월이 자꾸 나온 이유가, TM업체에서 가입시켜주고 나서 6개월 이내에 해지할 경우 TM업체가 그걸 변상해야 하는 구조라고 한다. 그래서 텔레마케터들은 어떻게든 오랫동안 쓰게 하려고 붙잡으려는 성향이 강하고, 따라서 3개월 무료를 첫달, 12개월째, 26개월째로 쪼개놓은 것도 다 그런 의도에서였던 것. 그렇게 해놓으면, 사실 26개월째 과금이 됐는지 안 됐는지 어떻게 다 일일이 기억하고 체크하고 살겠는가. 정말 활당할 노릇이다.
한국이 땅은 좁고 인구는 많고 뭐라도 해서 돈벌어 먹고는 살아야겠으니 TM업체니 뭐니 복잡한 유통·영업 구조가 자꾸 생기는 것 같다.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는 없는 걸까?
이 글은 아침놀님의 2008년 7월 16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이 글은 아침놀님의 2008년 7월 14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이 글은 아침놀님의 2008년 7월 12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이 글은 아침놀님의 2008년 7월 11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지금 쓰고 있는 휴대폰이 몇 년 된 것이라서 바꿀까 말까 고민도 해보고 부모님도 하나 사주시겠다고도 하신다. 하지만 나는 아직 바꿀 생각이 없다. 이유는 iPhone 정도 되는 것이 아니면 살 생각이 아니라서다. 그 정도 아니면 문자와 전화로 족하다.
하지만 내가 iPhone에 열광하고 그걸 원하는 이유는 단순히 터치인터페이스라서라거나 하드웨어 스펙이 좋아서인 것만은 아니다. 그렇게 따지면 한국의 삼성, LG 등에서 만드는 최신폰들이 더 나은 면도 있다. 바로 소프트웨어 때문이다.
AppStore, 개발자용 SDK, MacOSX의 개발로 다져진 실력을 발휘한 훌륭한 플랫폼, 거기에 OpenGL이 돌아간다. 지금까지 휴대폰의 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만들어 쓸 수 있다고 생각해봤는가? 그것이 최초로 가능해진 것이 바로 iPhone이다. 물론 프로그래밍 능력이 없는 사람들한테야 먼 얘기로 들릴 수 있지만 꼭 그런 건 아니다. Firefox를 왜 쓰는가? 수많은 확장기능들로 내 입맛대로 바꿔 쓸 수 있다는 것 아닌가. 이제는 휴대폰에서도 그게 가능해진 것이다. 굳이 내가 만들지 않아도 이미 전세계의 수많은 사람들이 만들어낸, 만들고 있는 iPhone용 어플리케이션들이 있다.
여기서 나는 한 가지 사실이 매우 안타까웠다.
왜 이런 아이디어가 한국에서 먼저 나오지 않았을까? 왜 이런 것을 한국에서 먼저 구현하지 못했을까?
여기에 대한 이유는 여러가지를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획일화된 주입식 교육으로 인한 창의성 부재부터 시작해서 소프트웨어/통신 업계의 제도적 관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에서 문제점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IT에서는 전통적으로 하드웨어를 중시해왔다. 삼성과 하이닉스로 대변되는 반도체 산업과 다시 삼성과 LG로 대변되는 LCD, 가전 산업이 한국을 전자기술의 강국으로 만들어놓았다. 2000년대 들어 시작한 초고속 인터넷 보급은 누구나 인터넷에 무제한 접속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놓았다. 그리고 우리는 IT강국이라고 스스로 외쳤다.
그러나 한국이 가장 약한 부분은 소프트웨어다. 뭐 이미 수많은 사람들이 문 떡밥이지만 한국은 반쪽짜리 IT강국이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한국은 충분히 애플과 같은 생각을 해낼 수 있는 자양분이 갖춰져 있었다고 생각한다. 이에 대해 혹자는 한국에 공유·개방하는 문화가 널리 퍼지지 않아서라고도 하고, 휴대폰 유통을 맘대로 주무르는 독점이동통신사들의 횡포라고도 한다. 솔직히 뭐가 진실인지는 모르겠다. 분명한 건 한국의 IT시장과 인터넷 서비스들을 볼 때 아직도 폐쇄적이라는 점이다.
국수주의로써 국내 시장을 보호해야 한다거나, 애플 등의 제품에 대한 찬사를 또다른 사대주의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스웨덴에 나가 살면서 느낀 것을 한 가지 뽑으라면, 이미 세계는 국경이 허물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정치적 물리적 국경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이미 사람들의 인식 속에서 세계는 하나로 합쳐지고 있고 그것을 막는 장벽도 거의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 (이제 유일하게 남은 건 돈과 언어다.) 정말 해묵은 소리지만, 우리가 경쟁해야 할 상대는 한국 내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국경 밖에 있는 것이다.
iPhone이 당장은 별것 아닌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애플의 하드웨어 솔직히 신뢰성이 많이 떨어진 건 사실이다. 그러나 나는 미국이 지금의 세계 최강대국이 된 것은 이러한 창의성과 혁신적인 사고가 가능했고,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실리콘밸리라는 환경을 만들어낼 수 있었던 그 바탕에 있었다고 생각한다. 정치적으로 미국을 옹호하고 싶은 생각은 전혀 없지만 이런 좋은 건 좀 배워야 하지 않겠는가. 생각을 가지고도 실천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는데, 애플은 그것을 누구보다 먼저 구현해냈고 어찌됐건 소비자들이 사용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러한 트렌드는 앞으로 점점 심해질 것이다. 소비자들은 점점 더 획일화된 제품에서 벗어나 입맛에 맞는 것을 찾게 될 것이고, 중학교 사회 책에도 나왔던 '다품종 소량 생산 시대'의 개념이 이제 휴대전화에도 도입되는 것이다. 누가 생산하는가? 소비자들이 생산하는 것이다.
한국에도 iPhone이 출시될 수 있기를 바라며, 또 그것이 한국의 닫힌 시장 환경을 하루빨리 열어주는 촉매가 되었으면 좋겠다.
이 글은 아침놀님의 2008년 7월 10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이 글은 아침놀님의 2008년 7월 9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이 글은 아침놀님의 2008년 7월 8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이 글은 아침놀님의 2008년 7월 7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이 글은 아침놀님의 2008년 7월 5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태터캠프 현장 중계(?). 원래 여기선 보안 문제로 인터넷이 안 되었었는데 오늘은 누군가 공유기로 인터넷을 사용 가능하게 해주어 잘 쓰고 있다. :) 가져온 카메라와 카드리더기로 현장 사진을 올려본다. 텍스트큐브 공지사항 블로그에 적용된 실시간 모바일 블로깅 사진들도 참고.
This is a small conference opened by TNF/Needlworks and sponsored by TNC. Today, we have 6 presentations about brief intro & history of TNF, introduction to intelligence service of textcube.com, renewal of Tistory, TAS(Tistory Anti-spam Service), Social Network Services, and Project Tattertools, given by some speakers from TNC/TNF, Daum Communication Corp.. I attended as a volunteering staff from Needlworks.
태터캠프 준비 중. 사람들이 슬슬 모이고 있음.
정규님의 TNF 세션 마무리
하고 싶은 이야기 포스트잇
누가 그린 거지;;
꼬날 님의 실시간 블로깅
바로 이 분! =3==3=3
태터캠프 현수막과 참가자들
이 글은 아침놀님의 2008년 7월 3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