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breakin Things
이 글은 아침놀님의 2008년 9월 3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이 글은 아침놀님의 2008년 9월 2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이 글은 아침놀님의 2008년 9월 1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이 글은 아침놀님의 2008년 8월 31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이 글은 아침놀님의 2008년 8월 30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이 글은 아침놀님의 2008년 8월 29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이 글은 아침놀님의 2008년 8월 28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이 글은 아침놀님의 2008년 8월 27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이거 상당히 심한 떡밥성을 지닌 글이 되겠지만, 내게 억지로 믿음을 강요하거나 무조건적 비판·비난만 아니라면 댓글은 대체로(?) 환영한다.
요즘...이 아니라 꽤 오래 전부터 계속 고민해왔다. 어머니 쪽 집안은 개신교 쪽이고(정확한 종파는 모르겠음) 아버지 쪽 집안은 천주교 쪽인데 어머니가 천주교로 개종하여 명동성당에서 결혼하시고 나는 유아 세례를 받은 천주교인으로 자라났다. 하지만 선천적으로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걸 따지길 좋아하도록 타고난 기질 덕분인지, 아니면 어렸을 때 너무(?) 많이 본 각종 과학책 덕분인지 몰라도 오히려 어렸을 때는 무작정 대놓고 믿었던 기독교에 대해서 지금은 많은 의문을 가지고 있는 상태다.
친한 친구인 lifthrasiir와 고등학교 시절 종교에 대해 토론해보았다든지, 그 녀석의 최근 글 기독교가 '아닌' 것이라는 글도 보고, 또 날개셋 입력기로 알게된 그 녀석의 절친한 선배인 용묵이 형의 홈페이지에 올라온 각종 신앙 간증 내용도 읽어보고, 또 주말마다 성당에서 미사를 하면서 신부님의 말씀도 들어보고, 대전 내려가는 기차 안에서 만난 한 수녀님과 한참동안 이야기를 해봤다든지, 또 주변 친구 중에 열렬한 개신교 신자가 몇몇 있어 이야기 및 상담(?)도 해보고, 수원교구청 성서교육자 교육도 받으신 어머니와도 이야기해보는 등 나름대로 하느님과 예수님, 그리고 성서라는 존재에 대해 어떤 관점을 가지고 살아야 하는지 많은 생각을 해봤다.
사실 나는 개신교에서 말하는, '하나님을 영접하는 것만으로도 구원을 얻는다'가 잘못되었다는 생각을 전혀 해본 적이 없는데, 가톨릭에서는 그렇게 안 보고 있다는 사실을 오히려 거꾸로 듣게 되어 놀랍기도 했고, 특히 근본주의파에 가까운 쪽에서는 가톨릭에 대한 비판을 많이 하는 걸 보고 당혹스럽기도 했다. 사실 나는 순수한 마음으로 하느님을 믿으면 (논리적으로야 어찌됐건) 아무 문제가 없다고 생각했고 따라서 심각하게 교리적 차이에 대해 집중해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뭐 어쨌거나 나는 기독교 각 종파의 세부적인 사항에 대한 차이는 제쳐두고 고민하는 부분들이 또 있다. 상당히 여러 사람들한테 물어봤지만 딱히 답이 없는 그런 질문인 것도 있고, 신앙인의 입장에서 보면 너무나 자명한데 왜 고민하나 하는 문제도 있으리라 생각한다. 또한 내가 성서를 아주 주의깊게 숙독하지 않았기 때문에 잘 몰라서 생기는 것도 있을 것이다. (뭐 기독교인의 의무를 게을리했다고 비판한다면 인정한다. 어쨌든 사실이니까.)
혹자는 이런 이상한(?) 질문들을 잔뜩 늘어놓는 나를 보고, '세상 좀 단순하게 살아라'라고 말할지도 모르겠다.;; 나도 머리아프다. 누가 나와서 깔끔 명료하게 내가 이해되는 방식으로 하느님을 믿어라든 믿지 말아라(...)든 정리해줬으면 좋겠다. 결론은 성서공부 열심히 하고 다시 생각하세요? -_-; 혹은 아직까지 아무도 대답할 수 없는 질문 가지고 고민하지 마세요...인 것도 있을 수 있겠다.
가끔은, 세상을 살면서 생각해야 될 것이 너무나 많다는 생각이 든다. 안 그래도 요즘 세상이 수많은 정보로 넘쳐나 정신없어 죽겠는데 과학의 발달(?)로 이런 고민까지 떠안고 살아야 하는지 말이다. (차라리 내가 논리적이고 과학적이고 이딴 거에 관심 없었다면 애초부터 고민하지 않았겠지.) 무엇보다 종교의 특성상 그것을 인정하는 순간 그것이 절대 가치가 되고 모든 것보다 우선하게 되기 때문에 그 어떤 이야기를 해도 그 절대 가치로 귀결될 수밖에 없어서, 객관적인 입장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점이 답답하다. 애초부터 종교는 객관적이 아니니까.. 뭐 이런 식으로 말꼬리 잡고 늘어지면 한도끝도 없어서..;; 어쩌면 인간이란 존재는 그 사슬을 끊기 위해 종교를 발명했는지도 모른다.
사실은 그냥 단순하게 '나는 앞으로 하느님을 믿겠다'라고 선택하고 모든 가치와 사고를 그에 따라 재정렬하면 되긴 하다. 심지어 일시적으로는 기독교인답지 않은(?) 행동이라고 해도 어떻게든지 논리를 돌려서 정당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국 자기가 순수한 의도를 가지기만 하면 되니까. (그게 말처럼 쉬운가는 제쳐두고.) 그래서 가끔은 무엇이 내가 그 선택을 하는 데 방해가 되는지를 고민할 때도 있다. 뭐 이게 흔히 말하는 사탄의 농간이라고 하면 할 말 없고-_-. 다만 나는 어쨌든 다양한 종교와 다양한 사상이 존재하는 세상 속에서 최대한 객관성을 잃지 않고 싶고, 또 그렇게 과학과 다른 여러 사상·관점들을 대하고 싶다. 어느 한 종교에 스스로를 예속시키면 언젠가는 충돌이 나게 마련이니까.
이 글은 아침놀님의 2008년 8월 26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이 글은 아침놀님의 2008년 8월 25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이 글은 아침놀님의 2008년 8월 24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애자일 블로그에서 아주 중요하고, 또 재미있지만 심각한 글을 찾았다. 나는 앞으로 뭐해먹고 살지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그 일을 찾을 때 쓸 수 있는 질문들이다. 질문 자체에 대한 설명은 원글을 참고하기 바라며, 나는 내 경우에 비추어 생각해보았다.
나에게 이런 류의 일이라면 책 읽기, 피아노 치기 및 공연 관람하기, 그림 그리기, 내가 뭔가 해낼 수 있을 것 같은 프로그래밍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정도. 동아리 프로젝트 같은 거 가끔씩 만지다보면 스스로 말려버릴 때가..;;
대학에 와서 전산 전공을 하면서, 또 흔히들 말하는 '한국 IT 업계의 현실' 뭐 이런 것들 때문에 프로그래밍에 대해 회의를 가져보기도 힘들어해보기도 하였지만, 기본적으로 내가 생각의 체계를 실체화하고 그것을 정보라는 형태로 가공하여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원래부터 내가 게임을 할 때마다 꼭 맵에디터가 있는 게임만 했듯 실제 프로그램들의 세계를 이해하고 내 맘대로 뭔가 해볼 수 있다는 것이 맘에 들기 때문에 프로그래밍은 기본적으로 좋아한다고 볼 수 있겠다.
그림 그리기나 피아노 치기는 뭔가 하다가 잘 안 풀려서 스트레스 받을 때 하는 류의 일들이다. 둘 다 아주 프로페셔널한 레벨을 스스로 원하는 건 아니고 다만 내 스스로 즐기기에 부족하지 않은 정도만 하고 있다.
대학에 와서 추가된 것이 하나 있다면 사람 만나기일 것이다. 아직은 내가 사람에 대한 경험이 적기 때문일 수도 있겠지만, 사람들과 만나 이야기하면서 그 사람을 파악해가는 것 또한 굉장히 재미있는 지적 활동이다. 좋게 유지된 케이스도, 안 좋게 끝난 케이스도 있지만 어느 쪽이든 나에게 큰 도움이 되고 있다.
글쎄, 프로그래밍의 경우는 대학의 전산과를 기준으로 본다면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보다 일찍 시작한 것이기 때문에 정확히 우열을 못 가리겠다. 하지만 내 스스로 판단하건대 중학교 때 별도 교육 없이 정보올림피아드에서 혼자 수상했던 점, 알고리즘 풀이 경험이 적음에도 구글 면접 때 차분하게 잘 대처할 수 있었던 점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어렸을 때부터 경시대회 등으로 단련된 아이들과는 다르게 빨리 적응하는 면이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아직까지 내가 볼 때 나는 알고리즘이나 이론적인 문제 해결보다는 보다 사용자와 관련된 부분, 시스템적으로 바라보고 작업하는 부분에 강한 것 같다.
이 외에도 중학교 때 어떠한 선행학습이나 학원·과외 없이 1년 만에 시험 시스템에 적응하여 전교 1등을 해봤던 것이나 과학고 입시를 단 3개월 벼락치기로 통과했던 일 등은 '공부'라는 것에 소질이 있다고 볼 수 있겠는데, 그때의 공부가 어떤 형태였는지를 가만히 생각해보면 어떤 자료를 읽고 나만의 언어로 정리하는 능력이 뛰어났던 것 같다. 참고로 초등학교 때는 공부라는 건 전혀 신경써본 적 없고 하루에 4시간씩 컴퓨터 게임만 하고 지낸 적도 있다. 근데 그 '나만의 언어로'라는 부분이 대학에 와서는 간혹 문제가 되기도 해서, 그렇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부분들은 굉장히 낮은 성적을 받기도 한다. (아직까지 이게 이루어지지 않은 대표적인 것을 꼽으라면 NP 문제의 증명과 같은 걸 들 수 있겠다. 아, 알고리즘이랑 오토마타 언제 재수강하지-_-)
그림의 경우 어렸을 때 우연히(?) 강남구 어린이 그림그리기 대회에서 입상한 것 말고는 객관적인 평가를 받아본 적이 없다. 그냥 나만의 머릿속에 있는 것을 어쩌다가 한 번씩 표현해보는 정도. 피아노는 어렸을 때 연습하라는 분량 다 안 하고 피아노 선생님 속여가면서(...) 한 것 치고는 진도가 굉장히 빠른 편이었다. 사실 몇 년 먼저 배운 형이 치는 곡들을 따라서 쳐본 적도 있었다. 어머니 말씀으로는 피아노 선생님이 콩쿨에 나가보라는 제의도 하셨었다는데 나는 기억이 없다. 지금은 그냥저냥 아마추어 수준으로 치는 것 같지만, 이상하게 카이스트에는 나보다 잘 치는 사람이 너무 많다 orz; (리스트의 초절기교 같은 거 치는 사람 보면 좀 좌절스럽다)
한편 작곡의 경우 제대로 공부하지도, 배우지도 않았지만 피아노를 쳐온 경험으로 중학교 2~3학년 때 조금 시도를 했었는데, 중고등학교 음악선생님들한테 큰 칭찬을 들었던 적이 있다.
'해먹고 산다'가 성립하려면 이 질문을 통과할 수 있어야 한다.
글쎄, 일단은 프로그래밍을 두고 생각하고 있지만, 이 자체도 굉장히 넓은 능력을 커버하기 때문에--시스템 수준의 분석에서부터 어셈블리 native speaking까지--또한 내가 가진 다른 방면의 능력들--특히 예술적인 면--을 활용하고 싶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석사 이후 어떤 분야로 어떤 일을 하면서 살지는 확정하지 못한 상태다. 고등학교 때부터 막연하게 생각해온 것은 '과학과 예술이 만나는 접점에서 일해보고 싶다' 정도인데, 몇 년 전 생긴 문화기술대학원은 어떨까 싶기도 하고, 그냥 전산 석사하고 이쪽 커리어를 쌓으면서 취미로 할까 하는 생각도 있고, 아니면 전산을 베이스로 생물정보학이나 로봇공학 쪽을 해보고 싶은 생각도 있고. 아무튼 고민 고민.
이 글은 아침놀님의 2008년 8월 23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이 글은 아침놀님의 2008년 8월 22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