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breakin Things

Posted
Filed under 살아가기, 생각하기/즐기기

(출처 : 교보문고)


카테고리는 옛날에 만들어 놓고 드디어 처음으로 글을 쓰게 되었다.

어제 형이랑 갔다온 교보문고에서 형이 사준 이루마의 악보집을 뒤적이다가 (원본 음악은 한번도 못 들어봤지만) 인터넷에서 사람들이 많이 찾던 Kiss the Rain이란 곡을 보고 어떤 곡일까 하고 한번 쳐 보았다.

이럴수가! 환상적이었다. (이 말은 거의 한번에 잘 칠 수 있었다는 뜻이기도 한데, 생각보다 치기 쉬웠다.. -_-) 간만에 좋은 곡을 하나 찾아낸 것이다. 고음부에서 조용한 멜로디로 시작하여 중간에 왼손 저음 옥타브 화음이 나오며 약간 고조되고 마무리는 반음 올려 조바꿈을 한 상태로 마무리된다. 같은 멜로디를 반음 올려 조바꿈해 마무리하는 것은 Yuhki Kuramoto의 Calming Island와 비슷하지만 Yiruma의 경우는 coda의 성격이 더 강하다.

전에도 이루마의 May Be, Love Me, Gabriel, Wait There는 친구 소개 등으로 쳐 본 적이 있지만, 이 곡은 또다른 느낌이다.

내가 유키구라모토를 몇년 간 계속 연주해 와서인지, 유키구라모토의 음악은 매우 명상적이고 안정되어 있지만 뭔가 차가운 느낌이 있다는 걸 부정할 수 없다. 반면 이루마의 음악은 매우 따뜻한 느낌이며, 곡 하나하나에서 오는 느낌이 유키구라모토의 곡들보다 좀더 분명하게 전해지는 것 같다. 내 생각에는 유키구라모토의 경우 마 장조(# 4개 붙은 것)를 많이 사용하고 곡 전체는 장조 곡이더라도 단조 화음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느낌이 비슷해진 것 같다.

과학고에 온 뒤로는 피아노를 쳐도 너무 '기계적'이라는 것을 스스로도 느낄 때가 많았는데(리스트의 라캄파넬라를 무리해서 시도했던 것도 이유중 하나일 것이다. 사실 감정을 해석하기에 따라서는 라캄파넬라가 기계적인 곡은 아니지만 못 치기 때문에 그렇게 되었다. 하지만 잘 치지는 못해도 그냥저냥 약간 팔 아파하면서 칠 정도는 되었다. -_-) 이루마의 이 곡으로 다시 '인간적'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ps. "이럴 수가! 환상적이었다" 라는 표현은 정확히 어느 글이었는진 생각 안 나지만 어제 오늘 읽었던 독서과제용(-_-) 책인 [파인만, 농담도 잘 하시네!]라는 책의 어투를 빌린 것이다.
Posted
Filed under 살아가기, 생각하기
드디어 교보문고에 다녀왔다. KAIST 신입생 독서과제 때문이었는데, 군대에서 휴가나온 형과 같이 미국 유학중에 방학을 맞아 같이 나왔다는 형 친구를 만나러 잠시 카페에 들렀다가 강남 교보 문고엘 간 것이다.

KAIST 신입생 독서과제는 논술 과목 성적에 포함되는 것으로 KAIST 인문사회과학부에서 선정한 4분야 83개 도서 중 분야별 1개씩을 골라 원고지 15장 내외의 독후감을 자필로 써 내는 것이다.

마키아벨리의 군주로, 괴테의 파우스트, 파인만씨 농담도 잘 하시네 등의 책을 샀다. (꼭 4권만 구한 것이 아니라 나중에 더 볼 생각으로 몇 권 더 샀는데, 몇몇은 집에 있는 것도 있어 사지 않은 것도 있다) 그 중에 프랑스 대혁명사는 상권만 있고 하권은 절판되어 재고가 없어 구입하지 못했다. 아무튼 그렇게 해서 총 75,000 상당의 책을 구입했다. ( 그대로 쌓여 있었던 12월달 용돈과 그동안 모아 둔 문화상품권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문제는 10권짜리 소설 장길산(2월 말에 시험평가가 있다)을 읽어야 한다는 것인데, 이건 누군가한테 빌리든지 해야 할 것 같다.

덤으로, 같이 간 형이 이루마의 피아노 곡집을 사 주었고(정규가 가지고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 원래는 아버지 회사를 가려다 시간이 늦어져(절판되어 없는 책들이 좀 있어서 찾느라 시간이 걸림) 아버지가 퇴근하시는 길에 태워 가기로 하고 기다리는 시간 동안 교보타워 1층에 있는 자바 커피점에 들러 카페라테 한잔씩을 마셨다.

그 커피점에서 비치된 책 중에 '논쟁을 이기는 법'에 관한 책(정확한 제목은 기억나지 않음)을 보았는데, 다 보지는 못했으나 간단히 훑어본 바로는, 논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질문이라고 한다. 질문으로써 미리 의도했던 방향으로 이끌어 가거나, 또는 '수사의문'이라고 하여 굳이 답을 얻어내기 위한 질문이 아닌 자기 주장을 강조하거나 남이 할말 없게 만들기 위한(-_-) 기법도 소개되어 있었다. 그러면서 결국엔 하는 말이 '궤변에 스스로 의지하지 못할 정도로 논리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라는 것이었다. 이는 처음엔 궤변을 통해 말문을 막으려고 하다가 스스로 논리를 갖추게 되면 자신의 궤변을 비판하게 되어 결국은 궤변 없이 논리로 이기게 된다는 뜻이다.

그냥 그런저런 가십거리처럼 읽기엔 괜찮은 책인듯 하다. 전에, 과학고에서 친구와 한번 논쟁이 붙은 적이 있었는데, (학문적인 건 아니었음) 완전히 상대방의 유도 심문 및 말투를 통한 심리전에 말려들어가 결국 져 주고 말았던 기억이 있다. (나중에 서로 미안하다며 화해하긴 했다) 그때 나름대로 반박을 할 순 있었으나 학습실 분위기를 고려해 더 진전시키지 않았었다. 평상시엔 내가 아는 지식을 기반으로 논쟁을 진행시킬 수 있으나 '뭔가 내가 꼻리는 것(-_-)'이 있을 경우는 약간의 수사 기법을 활용하는 것도 나쁘진 않을 것 같다. -_-;;;; (별로 '옳은' 생각은 아니지만...) 당시에도 사실 내가 잘못한 부분도 있었기에 내가 더 밀어붙이기가 좀 뭣했었다. (논리상으로는 이길 수 있었다)

이번에 독서과제를 할 때도 그런 수사 기법에 대해서 잘 생각해 봐야할 듯 하다. (물론, 교수님들은 지나친 수사 기교를 막기 위해 미리 '수사 기교를 많이 활용하기보다는...' 이란 조건을 달아 두었다) 적절한 때에 선택적으로 사용하면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 같다.

이제 7일이면 신입생 봉사 프로그램으로 꽃동네에 가게 된다. 먼저 다녀온 경곽 동기들의 말을 들어보니 나름대로 괜찮은 것 같다. (토끼군만 빼고 -_-) 그리고 신청한 사람들만 하는 영어/컴퓨터 사전교육 프로그램에 간 아이들 이야기를 들어보니 KAIST 기숙사도 좋다고 한다. (무엇보다도 기숙사에서 공부가 가능한 큰 책상이 있다고 한다 - 경곽에서는 같은 학년의 모든 학생들이 한 학습실에 틀어박혀 공부하기 때문에 학습실을 왔다갔다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대신 카이스트는 기숙사 호실 이동할 때 옮길 것이 더 많을 것이다.. -_-)

이제 1월은 KAIST 봉사활동 프로그램 후 어학원 다니면서 영어공부하는 것과 기숙사 관리 프로그램, 학교 홈페이지 프로젝트(여전히 선생님의 답장이 없다....OTL)로 시간이 갈 것 같다. 이번 기회에 영어 공부나 좀 열심히 해야 겠다.

ps. 기숙사 관리 프로그램은 현재 인쇄 출력 모듈과 XML/XSL 출력 모듈이 사실상 완성되었고 - 일일 통계와 기간별 통계의 XSL만 만들면 됨- 주 프로그램에서의 실제 통계 처리(현재는 테스트용 데이터만 생성)를 하고 학생별 그린/벌점 삭제를 구현한 다음 호실 재배치 기능을 만들면 된다. 나름대로 이거 하면서 공부는 많이 한 것 같다. WM_ERASEBACKGROUND 메시지 처리로 VB에서 컨트롤 배경을 투명하게 만드는 기법, ActiveX DLL과 CreateObject 문을 활용한 GUID-Independant 플러그인 도입, MSXML 3.0 DOM 활용, XSL 제작, Interface 클래스 응용하기 등...
Posted
Filed under 컴퓨터
최근 학교 홈페이지 업데이트 작업이 불가능해진 관계로, 기숙사 관리 프로그램이나 여유있게(?) 짜고 있다.

예전에는 전혀 생각지 못했었는데, 요즘에 다시 생각해 보니 통계 출력 플러그인과 주 프로그램과의 자료 송수신을 어떤 방식으로 할까 고민했었는데 해답은 XML이었다.

안그래도, 학교 홈페이지에서 플래시와 xml을 연동하여 학사일정 달력과 최근 수상실적을 구현했었기 때문에 생각날 수 있었던 것이다.
[CODE] <?xml version="1.0" encoding="euc-kr" ?> <Today date="2004/04/10"> <Dormitory name="남자 기숙사" shortname="남사"> <Greens>101,102,103,104,105,106,201,202,203,204,205,206,207,208,209,301,302,303,304,305,306,307,308,312</Greens> <Reds reason="1" reasonstr="담당 구역 청소 미흡">101,102,103,104,105,106,302,319</Reds> <Reds reason="2" reasonstr="호실 정돈 미흡">302</Reds> <Reds reason="3" reasonstr="신발 및 음식물 방치">101,206,207,208</Reds> <Reds reason="4" reasonstr="전원 미소등">101,102</Reds> <Reds reason="5" reasonstr="호실 잔류">101,102,208,209,301,302</Reds> <Reds reason="-1" reasonstr="기타">103,104,105</Reds> </Dormitory> </Today> [/CODE]
일일 통계는 주 프로그램에서 이런 식으로 데이터가 넘어오고(콤마로 구분된 숫자들은 호실 목록이다) 이것을 MSXML 3.0으로 파싱하여 VB의 Printer 객체에 뿌려주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주 프로그램에서는 통계 결과를 XML로 만들기만 하고 그 뒤의 처리에 대해서는 아무 신경쓸 필요 없이 출력 플러그인이 알아서 해석해서 처리하면 된다. (이번 기숙사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주 프로그램과 자료 구조를 표현하는 클래스 라이브러리, 통계결과 출력용 플러그인이 모두 ActiveX DLL 방식으로 분리되어 있어 마음대로 기능의 추가/삭제가 가능하다. 특히 출력 플러그인은 개발하기에 따라서 다양한 형식으로 만들 수 있고 사용자는 어떤 플러그인으로 출력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 데브피아의 XML 섹션을 돌아다니다가 우연히 매우 좋은 강좌를 하나 발견했다. 바로 XSL에 관한 것인데, 이것을 읽어보니 Standard Printer Output 플러그인에 Browser로 볼 수 있는 XML 플러그인을 하나 더 달아야 겠다. 기왕 프로젝트 하는 거 XSL까지 공부해서 나쁠 건 없잖은가?

강좌첨부:
Posted
Filed under 살아가기, 생각하기
어제 새벽에 아버지와 형하고 이 영화를 보았다.

역시 미야자키 하야오답게 전근대적인 중세풍의 세계에 산업혁명의 폐해를 비유하는 듯 기계 문명에 의한 전쟁과 파괴가 나타나고 이에 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맞서는 주인공들이 있다.

나는 오타쿠나 흔히 말하는 '애니 폐인'들처럼 애니를 많이 보거나 또 평가할 만한 능력은 없지만 개인적으로 생각하건대 전체적인 이미지 스타일이 마음에 들었다. 분명히 2004년 작품인데도 뭔가 옛날 애니들처럼 손으로 그린 듯한 느낌, 수채화같은 배경에 약간의 CG를 덧붙여 좀더 입체감있게 표현한 것. 그림들이 정말 '작품'이라 할 만하다.

그리고 피아노와 작곡/편곡을 좋아하는 나로서는 역시 하사이시 조의 음악도 빼놓을 수 없었다. 역시나(-_-) 현악으로 부드럽게 서주를 하고 피아노로 잔잔히 멜로디를 들려주며 장면과 분위기에 따라 적절하게 다른 악기 구성으로 편곡되어 있는 그의 음악은 꼭 마음에 든다. 그의 멜로디는 어디선가 들어본 듯 친숙하면서도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어 심금을 울리게 한다.

여기에 덧붙여, 단순하게 표현하여 '자연을 소중히 여기자'였던 기존의 주제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는 '현대화에서 얻어진 지나친 욕심을 경계하자' 쪽으로 바뀌더니 이번에는 '사랑이 모든 것을 치유할 수 있다' 쪽으로 바뀌는 것 같다. 물론 이렇게 말하면 너무 직선적이고 단순하게 표현한 것이겠지만...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보았을 때도 배경음악과 수채화같이 아름답고 순수한 배경들이 가장 기억에 남았는데 이번에도 그럴 것 같다.
(그때는 바다 위에 홀로 선 마녀의 성이었다면, 이번에는 하울의 성과 하울의 아지트가 있는 들판일 것이다)
Posted
Filed under 살아가기, 생각하기
드디어 2005년이 밝았다. (비록 하루 늦은 1월 2일이긴 하지만)

전광석화처럼 빠르게 지나간 경기과학고 생활을 뒤로 하고, 약 두달 동안 집에서 지내게 된다. 그리고 2월 19일부터는 본격적으로 KAIST에서의 생활을 시작하게 될 것이다.

내 생애에 지난 KAIST 합격 발표 후 이처럼 여유로운 적이 없을 것이다. 사실 합격 후에는 각종 학교 프로젝트들을 맡는 바람에 그다지 쉬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자기 계발을 할 수 있었던 것도 아니었다. 하지만 나름대로 프로젝트라는 것의 효용성과 또 그 속에서 겪는 인간관계에 대해선 다시금 새로 배울 것들이 있었다.

과학전람회도 그랬고, 정보사사 논문 작성 때도, 학교 홈페이지 프로젝트 때도 그랬지만 역시 어떤 종류의 프로젝트든 간에 가장 기본적으로 전제되어야 할 것은 팀원들간의 의사소통이다. 그것이 가장 대표적으로 실패했던 예가 성훈이와 진행했던 학교 홈페이지 프로젝트였다.

more..


1월 중순부터는 영어 공부도 시작하고 KAIST 신입생 독서 과제도 해야 하고 내 개인적으로도 바쁜 일들이 생길 텐데 어찌될 것인지는 두고봐야 할 것이다. 일단 기숙사 관리 프로젝트나 마무리해야겠다.

2년간의 기숙사 생활을 통해 굉장히 밀접한 인간관계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갈등과 친목을 경험할 수 있었던 것, 또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노하우를 습득할 수 있었고, 또 2년간의 과학고 생활을 통해 과학 분야에 대해 좀더 깊이있게 다가설 수 있었던 것이 경곽 생활에서 얻은 것이다. 그리고 선후배 관계와 동기 관계를 통한 인맥 형성도 얻었다.

이제 2월부터 시작되는 KAIST 생활, 그간의 프로젝트들과 경곽 생활을 뒤로 하고 다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