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breakin Things

Posted
Filed under Moments of Life
  • 키루나 여행과 러시아 여행 및 기타 몇몇 사진들을 모아서 moo card로 출력한 거 도착했다. 인쇄에 3~4일, 런던에서 스웨덴 제일 싼 항공우편으로 일주일 정도 걸리는 듯. 기대보다 해상도가 높진 않지만 도톰한 종이에 깔끔하게 나왔다. 여행친구들한테 편지보내야지. (스웨덴 교환학생 여행 사진 moo minicard) 2008-04-15 21:45:25

이 글은 daybreaker님의 2008년 4월 15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Posted
Filed under Moments of Life
  • 에스토니아 탈린 여행에서 돌아왔습니다. 탈린 도시 자체는 예뻤는데 비가 왕창 와서(....) OTL.. 역시 예상대로 크루즈 안에서 600여명에 달하는 스웨덴 각지의 교환학생들과 노는 게 주목적이었던 여행이었네요;; (스웨덴 교환학생 에스토니아 탈린 여행) 2008-04-14 13:04:10
  • 이틀밤을 배에서 자고 놀았더니 어째 기숙사에 앉아있는데도 몸이 좌우로 왔다갔다 하는 것 같은 느낌이;; 멀미를 할 정도로 배가 심하게 흔들리진 않았으나(아주 예민한 사람만 멀미할 정도..?) 대략 0.3~0.7Hz 정도로 꾸준히 흔들려준 덕분에 그 감각이 지속되는 듯. (배타고 여행하기 멀미) 2008-04-14 16:30:53

이 글은 daybreaker님의 2008년 4월 14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Posted
Filed under In English/Learn Korea

Now, it's time to begin some grammar-related things. I think the most easiest part to learn in languages is nouns, so this post is about Korean nouns.

Basic Vocabulary

To make it more interesting, you need to know some basic vocabularies.

English Korean Desc.
name 이름
man 남자(男子)
woman 여자(女子)
child(ren) 어린이
water
food 음식(飮食)
human, people, person 사람, 인간(人間)
human race, mankind 인류(人類)
earth 땅, 지구(地球) '땅' is used being compared to the sky, and '지구' means our planet.
sky 하늘
tree 나무
sea 바다
land
house, home
building 건물(建物)
road, pathway
school 학교(學校)
university, college 대학교(大學校)
student 학생(學生 )
language 말, 언어(言語)
sun 해, 태양(太陽)
moon

I will show family names in the following lecture.

Same Pronunciation with Different Meanings

Because Korean has much more simplified pronunciations than Chinese has, there are many words that have different meanings but same pronunciations. In fact, sometimes there are differences on the length of vowels which are usually ignored by Koreans. Koreans determine the meanings depending on the context.

Korean English
차(茶) tea
차(車) car, vehicle
eye
눈ː1 snow
horse
말ː words, speaking, language
ship
pear
the abdomen
배(倍) doubles/multiples of something
감(感) feeling, thought
Japanese persimmon
사과(沙果/砂果) apple
사과(謝過) making an apologize

Nouns from Foreign(Latin) Languages

We approximate2 the pronunciations of words from English, French, and other languages. Sometimes those approximation are different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because dialects of North Korea have stronger consonants and heavily affected by Russia. Here, I will use only South Korean.

English Korean
computer 컴퓨터
program 프로그램
project 프로젝트
bus 버스
taxi 택시
hotel 호텔
casino 카지노
spaghetti 스파게티
pasta 파스타
cake 케이크
ice cream 아이스크림
show
sofa 소파
television 텔레비전
coffee 커피

Some words are transformed under influence by Japanese, or just "Konglish" (Korean English).

English Korean
air conditioner 에어컨
remote controller 리모콘
cell phone 핸드폰 -- came from 'hand phone' which is not standard English; many people insist that we should use a better expression, '휴대전화(携帶電話)'.

And of course, the names of many countries and regions in the world are in this category.

English Korean
Asia 아시아
America 아메리카
Europe 유럽
Sweden 스웨덴
Russia 러시아
Canada 캐나다
Mexico 멕시코
Finland 핀란드
France 프랑스
Spain 스페인
Italy 이탈리아
Egypt 이집트
Taiwan 타이완
Arab 아랍
Dubai 두바이
Beijing 베이징
Stockholm 스톡홀름
Hongkong 홍콩
Tokyo 도쿄
Amazon 아마존
Washington 워싱턴
Berlin 베를린

and many others.

But the names of some countries which were introduced by Japan or in earlier periods are used in Hanja representations.

English Korean
Republic of Korea 대한민국(大韓民國) -- The official name of South Korea. Usually an abbreviation '한국(韓國)' is used.
South Korea 남한(南韓)
North Korea 북한(北韓)
United States 미국(美國) -- Japan use 米國.
Great Britain (United Kingdoms) 영국(英國) -- 'English' is '영어(英語)'.
Japan 일본(日本)
China 중국(中國)
German 독일(獨逸)
France 불란서(佛蘭西) -- Obsolete word now, but the character '佛' is still used in newspapers as an abbreviation.

The name of our country, "Korea", is made from the name a kingdom which existed at the medieval age in the Korean peninsula, "고려(高麗)". This kingdom had very activated trades of many products with other countries including China and Arabs.

Subjective & Objective Form and Pronouns

Basically, we don't distinguish subjective and objective forms because we have postpositions that indicates the role of the words which it decorates. I will introduce postpositions later.

English Korean
I, me 나, 저 -- The later one is an honorific form that lowers the speaker compared to the listener.
You 너, 자네, 당신3
We 우리
He
She 그녀
They 그들 -- same to the plural form of '그'
This 이것
That 저것
It 그것

To make them adjectives, like 'my', 'your', 'his', and etc, you can just append a postposition '~의'. Exceptionally 'my' and 'your' can be also used as '내/제' and '네' respectively. To represent someone's belongings, just append another word '것' which means (some)thing, like 'mine' = '나의 것/내 것/제 것', 'yours' = '너의 것/네 것', and 'his' = '그의', '그의 것'.

Single and Plural

To make nouns plural, you may just append a suffix '들' like '-s' or '-es' in English. There is no variation of original nouns. But Korean language does not strictly distinguish single and plural nouns, so this can be omitted in many cases. Usually if a noun is decorated by adjectives or used as a subject, then the plural form is more frequently used.

Articles

Korean does not have articles such as 'a', 'an', and 'the' in English. You can just put nouns in proper positions without any articles and any pluralization. If you want to emphasize that a noun is single, you may use '한'(the attributive form of ordinal number/native cardinal one) in front of it, but this is not necessary and actually unnatural in many contexts.

There is no strict separation between uncountable and countable nouns. They are countable or uncountable only conceptually, with no grammatical differences due to absence of articles. Of course, we don't pluralize uncountable nouns such as '사랑' which means 'love'.

In fact, putting proper articles for various abstract nouns is the most difficult part for Koreans when they learn English. (Maybe this post has also many mistakes about this.)


  1. The symbol 'ː' means the vowel of the character just before it should be pronounced long, but rarely distinguished by Korean people. 

  2. This is called 'transliteration' formally. 

  3. In subjective form with some postpositions, this should be used as '네', but many Korean does not care of it. 

Posted
Filed under In English/Learn Korea

Basically Korean uses the same system of Western society (Gregorian calendar) to represent dates and times. The standard time zone of South Korea is GMT+09:00 without the summer time period. It's same to Tokyo, Japan.

For traditional holidays, we count them on a lunar calendar which is based on Chinese calendar. We don't have any traditional holidays based on weekdays like United States (eg. Thanksgiving day is the fourth Thursday of November in U.S.) because we didn't have the weekday concept before Western culture was introduced.

We had a very different calendar system at the past, which divided a year into 24 periods and count the year based on the starting years of kings' ruling period1 or 60 years of "Kanji" cycles. Before using the concept of weeks, China and Korea usually divided a month into 5 or 10 days. I will introduce this traditional calendar system on another post later.

Weekdays

English Korean Hanja2 Desc.
Monday 월요일 月曜日 月 = moon, month
Tuesday 화요일 火曜日 火 = fire
Wednesday 수요일 水曜日 水 = water
Thursday 목요일 木曜日 木 = tree, wood
Friday 금요일 金曜日 金 = metal
Saturday 토요일 土曜日 土 = soil
Sunday 일요일 日曜日 日 = sun, day

You may notice the name of monday and sunday have the same meaning to English ones. Also other names have some relations to English names.3 For example, saturday is come from 'Saturn' which also means the sixth planet of our solar system and we say that planet as '토성(土星)'. These weekdays names are influenced by Japan that uses same names.4

5-days work on a week is now widely accepted in South Korea, so the friday is beginning of weekends like most Western countries, but without shortened work time at that day. (In Sweden, the work time on fridays is often shorter than other weekdays, but in Korea, there is almost no exceptions.)

Saying Years, Months and Days

We write dates in 'Year Month Day' order while Americans use 'Month Day Year' and Sweden uses 'Day Month Year'. Almost everybody knows English month names though they are not used frequently in Korea, and there are no month names in (modern) Korean.5

So we just say January as '1월', February as '2월', ..., December as '12월'. The character '월' is Korean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 '月' which means month or the moon. All numbers in dates are said in the cardinal number form.

Generally, year is '년(年)', month is '월(月)', and day is '일(日)' or '날'6.
Example: April 12, 2008 = 2008년 4월 12일 (이천팔년 사월 십이일)

Usually 3000BC is said '기원전(紀元前) 3000년' and AD2000 (or CE2000) is said '기원후(紀元後) 2000년' in some historical contexts. '기원' means a specific moment of a historic event depending on the context--here, the birth of Jesus Christ.

Saying Time

To say hours in Korean, you should use ordinal numbers, but cardinal numbers for minutes and seconds.

I think it would be faster to look some examples.

English Korean Hanja
AM 오전 午前
PM 오후 午後
hour
minute
second
1:00AM 오전 1시 [오전 한시]
2:00PM 오후 2시 [오후 두시]
5:30 5시 30분 [다섯시 삼십분], 다섯시 반(半)
11:50 (ten to twelve) 12시 10분 전(前) [열두시 십분 전]

We don't have some varied expressions to say times such as 'ten past twelve', 'a quarter past three', etc in English, but just say the exact numbers.

General Nouns about Times

English Korean
noon 한낮, 정오(正午)
morning 아침
afternoon 오후(午後)
evening 저녁
night
day(time)

Time Span

We use '시간(時間)' instead of '시(時)' and other parts are same.7

English Korean
10 hours 10시간 [열시간]
2 hours 7 minutes 3 seconds 2시간 7분 3초 [두시간 칠분 삼초]

  1. This is often called Regnal year

  2. From now, I will use this expression instead of 'Chinese characters' because 'Hanja' has another meaning that those characters are borrowed and incorporated to Korean language so that there might be some differences to the original Chinese. See this. 

  3. Read this. (Korean) 

  4.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1910-1945), many words from Western culture were brought by Japan. So many of current Korean nouns are same to Japanese nouns, but often different from Chinese. 

  5. In traditional calendar, we also have names for each month, but currently they are almost not used. 

  6. '일' is used as a unit of time while '날' as a general conceptual noun. 

  7. We do not use plurals here. I didn't introduce plurals in Korean yet, but actually plurals are much less used than English. 

Posted
Filed under 살아가기, 생각하기

미투데이블로그 포스팅을 하고 나서 IRC에서 몇몇 분들과 이소연씨를 정말 우주인으로 인정할 수 있는가, 그렇게 막대한 예산을 들여서 이소연씨를 우주로 보낸 것이 합당한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했었다. 그 이야기를 양쪽 입장에서 정리해보았다.

부정적 의견

  • 우리 힘으로 우주에 간 것도 아니고 다른 나라 우주선을 빌려탄 것이 뭐가 그리 대단하다고 호들갑인지..?
  • 러시아에서 갑부들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200억짜리 우주관광과 사실상 별로 다를 거 없는 대중성 이벤트 아닌가.
  • 그렇게 돈 많이 들여서 우주에 갔는데 하는 실험이 고작 그것(?)이냐.
  • 조금이라도 우주기술을 더 배워올 수 있도록 좀더 전문가를 보냈어야 한다.
  • NASA 홈페이지 등에 게재된 spaceflight participant라는 표현이나 commercial agreement라는 것은 우주관광객임을 보여주는 증거다.
  • 애초부터 한 방송사 혹은 주관 부처 등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이벤트였다. 다른 나라 우주선에 태극기 걸어놓고 쑈하는 거 부끄럽다.
  • 한국이 우주인 배출한다고 당장의 실용성을 가져다주는 것도 아닌데, 거기에 들인 돈을 다른 곳(인공심장 개발 등)에 쓰면 더 좋은 일을 많이 할 수 있지 않느냐. 하다못해 로켓 개발비로 쓰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 이소연씨 나중에 정치에 진출하거나 CF/TV 출연 등으로 돈 벌려고 하고 있는 거다.

이 외에도 네이버 등에 달린 소위 '악플'들을 보면 사각얼굴을 왜 우주로 보냈냐는 둥 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별의별 소리가 다 있지만 단순한 감정성 악플은 기각.

긍정적 의견 (사실 주로 내 의견-_-)

  • 지상에서 사실상 재현이 불가능한 장기간의 지속적 무중력 환경에서의 우리 손으로 얻은 실험 결과는 충분히 유의미한 것이다.
  • 현재 다른 선진국들도 유인우주탐사는 모두 미국과 러시아에 의존하고 있다.1
  • 어차피 당장 유인우주기술을 확보할 수 없는 이상, 우주비행사(우주선을 조종한다는 의미에서)가 아닌 실험 참가자 정도라도 한발짝 내딛고 우주개발에 폭넓게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이미 그러한 우주실험을 진행했던 나라들은 해당 연구결과를 거의 공유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직접 우주로 가는 것이 필요하다.
  • 실험·임무 내용이 너무 기초적이라는 반론들이 꽤 있는데(특히 교육용 실험 때문인 듯) 제올라이트 결정 실험 등은 우주에서 해볼 가치가 있고, ISS 내의 소음 환경 측정과 같이 다른 나라의 우주개발에 간접적인 도움을 줄 수도 있으며 우주에서의 신체 변화에 대한 데이터와 우주실험 장비 제작에 대한 노하우를 얻을 수 있었다는 점이 과소평가되어선 안 된다.
  • 이소연씨의 경우 과학고-카이스트 석박사를 거쳐 엄연한 과학자의 배경을 가지고 있고 고산씨의 경우도 삼성종합기술원 연구원으로 근무하는 등 기본적인 과학·공학적 소양을 갖춘 인물이므로 전문성은 문제되지 않는다.
  • 과학, 특히 항공우주공학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것도 의미가 있다.

사실, 나도 처음에 우주인 선발한다면서 공개 모집 과정을 시작했을 때는 상당한 의심(?)의 눈초리로 이 사업을 지켜봤었다. 돈이 많이 들든 안 들든 우주에 갈 수 있는 기회라는 것 자체가 현재로서는 굉장히 제한적이고 국가적 이익을 위해 하는 일이니만큼 단순히 선발 과정 잘 버텨냈다고 아무나 보내도 되는 것인가 하는 점에서 말이다. 뭐 지금에 와서 결과론적으로 말하자면 고산씨나 이소연씨를 선발한 것 자체는 잘 했다고 생각하는데, (내 추측이지만) 일단 공개모집으로 해놓고 내부적으로는 처음부터 이공계 출신이나 비행사 출신을 뽑으려고 한 것은 아닐까 싶기도 하다. 지금은 일단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쪽이지만 물론 나 또한 언론에서 너무 '영웅 만들기' 식으로 보여주는 건 마음에 들지 않는다. (다행히 내가 스웨덴에 있어서 간접적으로만 정보를 접한 덕분인지 나는 별로 그런 느낌을 받지 않았으나, 대다수의 한국 거주 지인들이 그렇게 표현하고 있으므로 일단 그렇다고 해두겠다.)

어찌됐든 이소연씨가 맡은 바 임무는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므로--실제 실험데이터를 나중에 분석해봐야 정말 그만한 가치가 있었는지는 알 수 있겠지만--좀더 큰 관점에서의 생각을 정리해보겠다. 위에서 나열한 부정적 의견들 중 상당수는 (내 생각에) 긍정적 의견으로 대치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논쟁이 될 만한 부분은 과연 한국이 지금 이 시점에 거액을 들여 사람을 우주로 보내야 하는가 하는 것이다.

이 기사에서 보다시피 과거 소련과 미국의 맹렬한 우주개발도 사실은 정말 인류와 과학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양국의 이익을 위해 서로를 견제 대상으로 놓고 진행된 것임은 사실이다. 미국이 그 막대한 예산을 들여 달에 사람을 보냈을 때도 그 돈을 다른 곳에 쓰면 되지 않느냐는 의견이 존재했었고, 지금 한국 우주인 배출 사업을 바라보는 시각 속에도 여전히 존재한다.

이것을 보면서 분야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어떤 분야라도 초창기 선구자적 전망을 제시하는 사람들이 아닌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기술 개발 단계에 다다르면 과학 연구도 결국 외적 요인에 의해 좌지우지될 가능성이 커지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생명공학 쪽은 윤리적 문제가 발목을 잡고 있고, 우주개발은 항상 예산 문제 때문에 시끄럽다. 아마 로봇공학도 충분히 발전한다면 철학적 문제나 윤리적 문제가 연구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물론 그렇게 발목 잡히는(?) 것이 나쁘다고 얘기하고 싶은 건 아니다. 여러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과학기술들은 어느 정도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지면서 진행이 되어야지 단순히 호기심만으로 접근했다가 연구자 자신만의 양심에 맡기기에는 위험한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러한 도전들이 이루어진 건 결국 사람의 끊임없는 호기심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분히 선전용 문구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케네디 대통령이 미국의 달탐사 계획을 발표하면서 '인간을 달에 보내는 것이 쉽기 때문이 아니라 어렵기 때문에 하고자 한다'라고 했던 부분이 여전히 감동스러운 이유는 미지의 세계에 대한 욕구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게다가 이제는 기술의 발전으로 우주를 에너지·자원의 보고로써 실용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굉장히 현실적이고 해결 가능성 높은 문제가 되었기 때문에 우주개발에 그만큼 예산 투입을 하는 것은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우주기술의 군사적 활용가치 때문에 기술이전이 잘 되지 않는 점도 있고.) 단지 돈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우주개발을 반대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고산·이소연씨가 우주인으로 뽑혔다는 것이나 그들이 하고 있는 임무가 과연 한국의 우주개발에 (들인 돈만큼) 정말 도움이 되겠느냐라는 것이 중요하다. 당장 우리가 직접 유인우주선을 발사하거나 미국·러시아의 우주선을 조종할 수는 없는 만큼 단순히 공군 출신의 우주비행사보다는 우주실험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이공계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뽑았다는 점은 좋았다. 그럼 이소연씨가 하고 있는 실험들이 얼마나 가치가 있는가? 하는 물음에 답해야 할 것이다. 사실 해당 실험들이 얼마만큼의 경제적 이익이나 파급 효과를 가져올지 잘 알 수 없고, 그것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야 판단할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당장 뭐라고 장담할 수는 없는 부분이다.2 사실 그래서 당장 그 효과를 느낄 수 없기에 천문학적 예산이 들어가는 우주개발이 어려운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렇다고 지금 이 시점에 한국이 우주인을 배출한 게 단지 쑈에 불과한 것일까? 만약 이렇게 달랑 우주인 배출만 해놓고 분위기 붕 띄워놓은 다음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면 그야말로 생쑈로 끝날 것이다. 우주실험 결과를 잘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후속 우주인을 양성하는 문제와 인공위성에만 집중해온 한국의 우주개발이 유인우주기술 쪽으로 좀더 지평을 넓힐 수 있도록 하는 국민적·제도적 관심은 기본이고, 여러 이공계인들이 지적하는 것처럼 이것을 기회로 보다 효과적인 이공계 교육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재정비를 해야 한다.

뭐 아무리 미사여구를 갖다붙인다고 해도 사람이 직접 우주에 간다는 것 자체가 아직도 대중들에게 큰 이벤트가 되는 만큼 대중들을 위한 쇼 성격이 전혀 없다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이미 선진국들의 행보를 보면 십수년 이내에 달과 화성에 사람이 영구 거주 가능한 기지를 만들겠다고 하는 등 이미 우주개발 자체가 단순 흥미의 차원을 넘어 인류가 살 수 있는 곳을 확장하고 자원 개발과 함께 인류의 지속적인 번영과 생존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는 단계이므로 뒤처지지 않게 유인우주기술을 하루빨리 확보해야 하는 것은 맞는 말이고3, 이소연씨 귀환 후 그녀와 정부가 앞으로 어떤 행보를 보이느냐에 따라 다시 평가가 갈라질 것이다. 이번 일을 계기로 진전을 이룬 러시아 우주청과의 관계 활용, 우리 기술로 유인우주선을 발사하게 될 때를 대비한 추가 우주인 양성 등의 계획이 진행 중이라는 것은 고무적이다. 하지만 이와 함께 근본적인 과학교육 개선과 지속적인 관심 및 사회적 합의를 요구하는 이러한 과학자들의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아직은 걸음마 수준인 한국의 우주개발이지만 앞으로 우주에도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필요해질 것이고 지상에서 맡은 바 열심히 일을 한다면 우주에서 일할 기회가 주어질 것이라는 이소연씨의 말에 공감한다. 잠깐의 관심으로 그치지 말고 365일 계속 관심을 보여달라는 그녀의 부탁을 들어줄 수 있도록 정부가 노력하길 바라며 글을 마친다.


  1. 사실 이 점에서 중국의 유인우주선 발사는 독자개발 노선을 걷고 있다는 점에서 굉장히 유의해서 지켜볼 필요가 있다. 정말로 문라이트 마일과 같은 중국-미국 간의 우주 냉전 시대가 펼쳐질 가능성도 있다. 

  2. 한편으로 사람을 직접 우주에 보내 각종 작업과 실험을 하는 것보다 무인우주기술을 더 고도화시키는 것이 비용도 싸고 안전하다는 의견도 있다. 유인우주기술 자체는 꼭 확보를 해야겠지만, 비용 면에서 문제가 된다면 인공위성 대신에 원하는 실험이 가능한 실험장비를 쏘아서 무인으로 실험을 진행한 다음 다시 회수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3. 이렇게 써놓으면 뭔가 거창해보이긴 하는데, 이전 포스팅에도 적었다시피 아직 ISS를 제외한 다른 우주개발 계획들은 대부분 국가 단위로 진행되고 있어 인류 전체로 봤을 때 시간과 노력의 낭비가 만만치 않다. 현재의 세계 정치 체계가 그대로 유지된다고 가정했을 때 달·화성 수준이 아니라 태양계 외곽 혹은 바깥으로 사람을 보내는 일은 상당히 힘들지 않을까 싶다. 미래엔 어떤 일들이 벌어질까? 

Posted
Filed under Moments of Life
  • 잠시 후 에스토니아 탈린으로 2박3일짜리 여행 갑니다. 일정 보니 막상 탈린에서는 한 나절 있는 정도이고 주요 내용은 크루즈에서 다양한 지역의 교환학생들과 노는 게 주목적인 듯?;; (스웨덴 교환학생 에스토니아 탈린 여행) 2008-04-12 14:30:37

이 글은 daybreaker님의 2008년 4월 12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Posted
Filed under Moments of Life
  • 블로그 스킨 갈아엎는 중. 미니멀리스틱하게, 그러나 본문에 사용할 다양한 태그와 클래스 지원에 중점을 맞출 생각이다. (텍스트큐브 블로그 스킨 제작) 2008-04-11 04:15:31
  • 벌써 교환학생 출국 90일째다. 이제 반이 넘게 지나갔다는 소리. 학기 끝나면 스웨덴·노르웨이 근처 여행 좀 하고 싶은데, 여행메이트를 슬슬 찾아놔야 할 듯. 아참, 이번 주말에는 에스토니아 탈린으로 2박 3일 크루즈 여행갑니다. (가는 배에서 자고 오는 배에서 잠) (스웨덴 교환학생) 2008-04-11 14:58:07
  • 우주인 배출사업을 옹호하는 글을 썼는데, 반대로 이런 의견도 읽어볼 만하다. 문라이트 마일에서도 지적하는 내용. ISS도 인류가 만든 인공구조물 중 가장 많은 비용이 들었으니... 국가주의가 큰 영향을 주는 건 사실이나 나는 그래도 인간의 호기심에 손을 들어주고 싶다. (어쩌면 과학자의 입장에서 큰 돈이 들수밖에 없는 우주개발을 국가와 대중의 힘을 빌리지 않으면 할 수 없다는 사실에 슬퍼해야 하는 걸까) 2008-04-11 17:44:07
  • 오오, 드디어(......) ISS의 무중력 상황을 제대로 설명한 기사 발견... -_- "즈베즈다는 무중력 상태다. 진공 상태와는 분명히 다르다. 모듈 내부는 원심력과 지구 중력이 일치하면서 일정한 궤도에서 무중력 상태가 발생할 뿐..." (과학기사 제대로 좀 씁시다 미세중력까지는 바라지도 않는다 저 정도만이라도 설명해라 -_-) 2008-04-11 18:19:00

이 글은 daybreaker님의 2008년 4월 11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Posted
Filed under Moments of Life
  • 지금 날씨는 봄볕에 따스한 햇살이 내리쬐는 가운데 꽃들이 피어나고 있는 봄날씨이지만 어제 아침엔 눈이 내렸고 일기예보를 보면 일요일 아침엔 영하2도까지 떨어진다고 한다.. 이거 봄 맞아? (스웨덴 봄날씨) 2008-04-10 14:26:55
  • 어쨌건 한국인 최초로 우주에 간 이소연씨. 근데 네이버에 보면 왤케 악플이 많지? 세금 좀 많이 들어가긴 했어도, 언론이 지나치게 호들갑을 떨긴 해도 분명 축하하고 격려해줘야 할 일 아닌가? 정치에 신물나서 괜히 여기에 화풀이하는 것 같아보인다. 미래의 가능성을 보자. (한국 최초 우주인 이소연 네이버 악플 따위는 무시하는 게 답인가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2008-04-10 21:08:35

이 글은 daybreaker님의 2008년 4월 10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Posted
Filed under Moments of Life
  • 요즘 들어 삽질하다가 뭔가 구글 검색을 하면 자꾸 내가 쓴(..) 글들이 올라온다. 그만큼 내가 쓴 것들이 랭킹이 높다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정작 나한테 필요하지는 않기 때문에 반갑지는 않다ㅠㅠ; 누가 맥터미널에서 man page 색상코드 깨지는 거 해결해줘요; (삽질 셀프레퍼런스 근데 이글도 구글에 검색될 것같다) 2008-04-09 03:20:36
  • 아까 저녁 먹고 잠들었다가 깬 후로 살짝 밤을 새버렸는데, 이거 웬걸, 밖에 눈이 펑펑 내리고 있잖아!!! 온 세상이 하얗게... (......) 나의 봄은 어디로.... (스웨덴 봄 가고 겨울 오다) 2008-04-09 06:22:14
  • 요즘 들어, RSS 구독 목록을 한 번 훑어보는 데만 1시간 넘게 소요되고 있다. 뭔가 정리를 해야 할 텐데, 지인들 블로그와 정보성 블로그들까지 다 합쳐지다보니 정리가 거의 불가능.. 이거 어떻게 방법 없을까? (정보의 홍수) 2008-04-09 17:15:11

이 글은 daybreaker님의 2008년 4월 9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Posted
Filed under 컴퓨터

Don't Panic!
I'm currently working on a new skin. Even if you see raw HTML output, everything such as comments will work fine.

Posted
Filed under 살아가기, 생각하기

The first Korean astronaut Yi So-yeon was born at April 8, with the launch of Soyuz spaceship in Baikonur Cosmodrome. This is the 17th expedition to build ISS, but So-yeon doesn't take part of building it and she will perform 13 scientific experiments and 5 educational experiments. She and Ko San were chosen as the first Korean astronauts in a public competition in late 2006, which 36 thousands people applied for.

Currently, South Korea is planning to launch our satellites with our own rockets KSLV-I from late 2008, in our first space center 'Naro space center' that is being built on an island located in the southern sea of South Korea.

우주인 선발한다고 지원자 공개 모집하던 게 엊그제 같은데 어느새 어제가 발사였다. 이쪽에선 한국 방송을 볼 수 없는 관계로 생중계는 보지 못했으나 NASA TV 서비스를 통해 녹화된 발사 장면은 볼 수 있었다. 오히려 나보다 기숙사 같은 층에 사는 바보르가 더 관심이 있었다. (바보르는 우즈베키스탄 출신의 남학생이다.) 동일이와 같이 저녁을 먹으며 이런저런 얘기를 했는데 어떻게 그리 잘 아냐고 했더니 (소비에트연방의 국민이었던 사람으로서) 바이코누르에 대해 어떻게 모를 수가 있냐며 우주인이 중간에 바뀐 사실까지 자세하게 알고 있었다. 그러면서 이 정도의 일이면 축하 파티라도 열든지 국가 공휴일로 만들어야 되는 것 아니냐고 자기가 더 호들갑(...)을 떨었다;;

그런데 이 사업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도 만만치 않은 듯하다. 예전부터 그랬고 지금도 그렇지만 미국의 갑부들이 러시아 정부에 돈퍼주고 갔다오는 것과 유사한 200억짜리 우주관광 아니냐는 의견이 많이 나오고 있다. NASA의 홈페이지에 게재된 'spaceflight participant', 'commercial agreement'라는 표현을 근거로 삼아 그런 주장을 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언론이 너무 호들갑을 떠니까 거부감(?)이 들어서 그렇지, 나는 이번 우주인 배출 사업 자체는 긍정적이라고 평가한다. 항공우주산업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키는 효과나 우주에서의 과학 실험 등의 가치도 무시할 수 없을 뿐더러, 공군비행사가 아닌 이공계 배경을 가진 사람이 최초의 우주비행사가 되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당연히 어느 정도 대중성 이벤트의 성격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우리나라가 우주개발을 시작한 것 자체가 얼마 되지 않고 우주비행이라는 것 자체가 항상 안전을 최우선에 두고 진행되어야 하는 만큼 아직 유인우주비행체를 직접 개발하기까지는 시간이 한참 걸릴 것이므로, 다른 선진국의 우주선을 빌려타더라도 실험을 잘 수행할 수 있는 과학자를 첫 우주인으로 선발한 것이 오히려 더 낫다는 생각도 든다.

한편 NASA 홈페이지를 여기저기 뒤져보니 한국보다 앞서 우주인을 배출했던 국가들도 직접 우주선을 조작하는 사람들이 아닌 실험전문가로 참여하는 경우도 spaceflight participant로 표기되어 있다. 이 명칭에 의한 이의 제기는 없었으면 한다. 러시아와 미국의 입장에서 자신들이 개발한 우주비행체를 조종할 수 있는 사람은 우주기술 유출에 대한 우려 등으로 거의 자국민으로 한정될 것이다. 우리가 유인우주비행체를 직접 개발한다면 당연히 공군 등 관련 경험이 많은 사람을 중심으로 우주비행사를 양성하는 것이 맞겠으나 아직까지 그러기엔 시간이 많이 남았으므로 초반에는 과학자 위주로 우주 탐사 자체를 목적으로 하다가 적절한 시점(유인우주선 발사하기 수년 전 정도)부터 그러한 전문 '조종사'를 키우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직 유인 우주 탐험은 미국과 러시아의 주도로 진행되는 경향이 강하고 나머지 국가들은 한국처럼 우주인 배출 후 우주실험이나 차후의 우주개발에 참여하는 쪽으로 진행하는 듯하다.

일단 첫 우주인을 배출한 것까지는 좋은데, 문제는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이다. 뉴스를 보니 영국같은 선진국도 일찌기 우주인을 배출해놓고 후속 사업을 진행하지 않아 우주개발 경쟁에서 한참 밀려나 있다고 하니 한국 또한 단발성 이벤트로 끝나면 안 될 것이다. 당장은 필요하지 않겠지만 우주선을 조종할 수 있는 전문 우주비행사나, 우주선을 관리·수리할 수 있는 엔지니어, 우주실험 전문가, 우주공간이나 달·화성 등에 건물을 짓기 위한 전문 기술자 등 다방면의 인력을 양성하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사실 이번 이벤트를 보면서 막 눈물이 날 정도로 감격스럽고 그런 정도까지는 아니었지만 어쨌든 우리나라가 우주개발 폭을 크게 넓혔다는 점에서 기쁘다. 하지만 아마도 내 생각에 나는 자력 개발 로켓으로 첫 위성을 발사하는 게 더 감격스럽지 않을까 싶다.

끝으로, 각국이 우주개발 경쟁을 하는 모습을 보면 엄청난 자원과 시간 낭비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곤 한다. 단순히 우주개발에 천문학적인 예산이 들기 때문이 아니라, 각국의 이해관계나 군사적 목적 등을 이유로 로켓 등의 발사체 개발이나 유인우주선 기술 등은 서로 공유하지 않기 때문이다. 국가라는 단위로 봤을 땐 지금의 상황이 현실적으로 당연하지만, 인류 전체로 봤을 땐 엄청난 '중복 투자'가 아닐 수 없다. 안 그래도 힘들 우주개발을 각 나라가 제각각 진행하느라 전전긍긍하고 있으니 말이다. 그나마 ISS와 같이 여러 국가가 함께 참여하는 프로젝트가 있어 다행이랄까. 한국이 주요 멤버로서 우주개발에 참여하게 될 날을 기대해본다.

Posted
Filed under Moments of Life
  • 뒤늦게 로스트(.....)에 말려서 주말 동안 좀 달렸다.; (아직 시즌1도 다 못봤...) 왜 로스트가 재밌다는 건지 알 것 같으면서도 궁금증을 너무 있는 대로 다 짜내는 듯한 느낌이...-_-;;; (뒷북 둥둥둥 로스트 시즌1) 2008-04-07 15:56:34
  • 날씨가 꽤 많이 따뜻해졌다. 잘 때 옷을 껴입고 자지 않아도 되고, 기숙사 내에서 반팔 티셔츠를 입고 있어도 된다. 기온이 확 오르거나 뭐 그러는 건 아니지만 해가 길어지니까 아주 살 것 같다. 슬슬 들꽃들도 피어나고 나무들도 눈에 물이 오르고 있다. 여름이여 오라! (스웨덴 봄) 2008-04-07 16:28:00

이 글은 daybreaker님의 2008년 4월 7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Posted
Filed under In English/Learn Korea

Using numbers in Korean is very similar to Japanese and Chinese because those three use same Chinese numbers with different pronunciations. But this fact is applied for only cardinal numbers(one, two, three, ...), not ordinal numbers (eg. first, second, third, ...).

Basic Reading

ArabicCardinalOrdinal prototype1Chinese cardinal
1일[il]하나[hana]
2이[i]둘[dool]
3삼[sam]셋[set]
4사[sa]넷[net]
5오[o]다섯[daseot]
6육[yuk]여섯[yeoseot]
7칠[chil]일곱[ilgop]
8팔[pal]여덟[yeodeop]
9구[goo]아홉[ahop]
10십[sip]열[yeol]

Actually, these ordinal numbers are not actually ordinal. They are original-Korean numbers, and used to make real ordinal numbers in some contexts. (So if you use this forms as it is, it's not an ordinal number. To know how to use them, see the end of this post.)

English-like languages have special notations for 11 and 12, but Korean-like languages doesn't have such exceptions.

11십일열하나十一첫 becomes 하나 if you use it after 10 or larger.
12십이열둘十二 
13십삼열셋十三 
... (You can combine 십/열 and 1-digit numbers.)
20이십스물二十 
21이십일스물하나二十一 
30삼십서른三十 
40사십마흔四十 
50오십五十 
60육십예순六十 
70칠십일흔七十 
80팔십여든八十 
90구십아흔九十 
100백[baek] There is no more ordinal numbers from 100, so we use same names to cardinal numbers.2
1000천[cheon]  
1,0000만[man]  
1000,0000억[eok]  
1012조[jo]  
1016경[gyeong]  
0영[yeong] In middle digits of a number, we don't say anything for 0, just like English.

English puts a comma between every 3-digits because it uses 'thousands' scaling, but Korean puts it between every 4-digits because it uses 'ten-thousands(만)' scaling. However, 3-digits separation is more frequently used in the real life such as banks.

Some examples:

24이십사스물넷二十四
101백일백하나百一
135백삼십오백서른다섯百三十五
2358이천삼백오십팔이천삼백쉰여덟二千三百五十八
1,2345,6789일억 이천삼백사십오만 육천칠백팔십구 一億 二千三百四十五萬 六千七百八十九
You may notice there is one-to-one mapping with Chinese numerals and Korean numerals.

If you use 1 in places of larger than 10000, we usually add a prefix '일'(1) to the number. So 1000,0001 is 일억일, not 억일, but 1,0000 is 만, not 일만. (You may use '일만', but it's only in some formal notations.)
It's easy to think the last example as 1x108 (일x억) + 2345x104 (이천삼백사십오x만) + 6789x1 (육천칠백팔십구). If you want test yourself, there is a perl script that converts arabic numbers to Korean pronunciations. (Note that the script uses CP949 or EUC-KR encoding, not UTF-8. But I think if you copy & paste its source code in UTF-8 encoding, then it will run well in UTF-8 encoding.)

Floating numbers

To speak floating numbers, you can say '.' as 점, and the following digits in 1-digit numbers, such as:
10.13579 = 십점일삼오칠구
365.2422 = 삼백육십오점이사이이

For more mathematical notations such as equations, fractions and squares, I will introduce them (maybe far-_-) later.

Using ordinal numbers

If you use ordinal numbers as the attributive forms, the last sounds in 2, 3, 4 and 20 are dropped. The affix '-째' is something similar to '-th' in English.

English Korean Desc.
first 첫째, 첫번째 '첫' is another expression of '하나' only used in ordinal numbers.
second 둘째, 두번째 you may notice that the form is varied.
third 셋째, 세번째
fourth 넷째, 네번째
fifth 다섯째, 다섯번째
sixth 여섯째, 여섯번째
seventh 일곱째, 일곱번째
eighth 여덟째, 여덟번째
ninth 아홉째, 아홉번째
tenth 열째, 열번째
eleventh 열한번째
twelfth 열두번째
thirteenth 열셋째, 열세번째
fourteenth 열넷째, 열네번째
... ...
twentieth 스무번째 Not 스물번째
... ...
thirtieth 서른번째

and so on.

You can read an article about Korean numerals on Wikipedia instead of this.


  1. These can be said as 'native cardinal' because they also may be used in the context for cardinals. Wikipedia uses 'native cardinal' here. 

  2. In ancient Korean, 100 = '온', 1000 = '즈믄', 104 = '드먼', and so on, but these names are no longer u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