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breakin Things

Posted
Filed under 살아가기, 생각하기

조금 전인 저녁 7시 30분부터 합창 동아리인 카이스트 코러스의 정기 공연을 보았다. 실내악 앙상블 교수님이 같은 동료가 하는 공연을 안 보는 건 예의가 아니라면서, 곡 보고 감상문도 써내라시길래-_- 겸사겸사해서 갔는데 공연 자체는 꽤 볼만했다.

전체를 3개의 스테이지로 나누었고, 첫 스테이지는 뮤지컬 'Le Miserables'의 명곡들을 메들리로 엮은 것이었다. 두번째 스테이지는 외국·한국 가곡들을 엮은 것이었고 마지막 스테이지는 모차르트의 작품 '대관식 미사' K.317의 Kyrie, Gloria, Credo, Sanctus, Benedictus, Agnus Dei를 죽 부르는 것이었다.

공연 전에 진혁이 형한테 전에 물어봤을 때는 자기는 오른쪽 귀퉁이에 있어서 잘 보이지도 않을 거라고 했는데 오늘 보니 맨 뒷줄 가운데에서 떡하니 자리잡고-_- 있어서 아주 잘 보였다. 어차피 워낙 많은 인원수가 부르기 때문에 개개인의 목소리를 구분할 수는 없었지만 말이다. (찬호는 한 사람 건너 옆에 있었는데 가장 몸집이 거대했다;; 그리고 스튜어트 물리를 같이 듣는 항석이 형도 볼 수 있었다)

일단 전체적으로 노래·반주 모두 훌륭했다. 특히 눈에 띄었던 것은, 소프라노-알토-테너-베이스의 각 대표 주자(?)가 한 명씩 따로 나와 있었던 것인데, 각각 그 한 사람의 목소리가 대강당을 홀로 채울 수 있을 만큼 풍부하고 큰 소리가 나는 게 놀라웠다. 그리고 그 사람들이 솔로나 듀엣, 콰르텟을 할 때 각각의 음높이에서 고유의 영역을 차지하며 한 공간에서 다차원적으로 울려퍼지는 그 느낌이 인상적이었다.

그 네 명 중에서도, 내 눈에 띄었던 사람은 테너 솔로를 맡은 류한승 선배였다. (이름을 어디서 들어본 것 같아 찾아보니 스팍스 99학번 선배였다 -_-) 남자 목소리이면서도 상당히 가느다랗고, 가느다라면서도 널리 퍼지는 침투력이 있는 목소리였다. 테너 솔로와 베이스 솔로가 같이 부를 때면 마치 그레고리안 성가를 듣는 것 같았다. 만약 그 두 분만 따로 그레고리안 성가를 부른다면 매우 잘 어울릴 것이다.

반면 소프라노 솔로는 매우 음량이 컸는데,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알토 솔로를 했던 사람의 목소리가 거의 안 들렸다. (내 생각엔 소프라노가 커서라기보단 알토가 작은 것 같다. 아니면 그게 단체 합창과 비슷한 높낮이여서 묻혀버린 것일지도.) 분명히 소프라노 혼자 할 때와 알토가 붙어 있을 때의 소리가 뭔가 다르긴 한데 알토만의 소리를 들을 수는 없었다.

그 외의 다른 사람들은 모두 단체 파트별로 나뉘어 있었는데 개개인의 목소리 특성을 들을 수는 없지만 대신 여러 명의 목소리가 합쳐진 또다른 느낌으로 멋있었다. 파트별로 서로 번갈아가며 부르거나, 같은 멜로디 선상에서 약간씩 어긋나게(echo) 부른다거나 할 때 솔로들과는 다른 웅장한 느낌을 실어주었다.

그리고 역시 내가 피아노를 치는지라 반주도 유심히 보았는데, 전에 코러스 동방에서 4-hands 연습할 때 진혁이 형이 잠시 보여주었던 대관식 악보(맞나?)의 그 극악의 부분-_-.. 역시 원준이 형은 무난하게 넘어갔다. 반주 전체적으로 중간중간에 살짝 안 맞는 것 같은 부분들이 있었지만 뭐 내가 원래 곡을 잘 모르다보니 정확히 틀렸는지 맞았는지는 판단을 못하겠다.

어쨌든 간만에 멋진 공연을 볼 수 있어서 좋았다. 지금 쯤이면 한창 뒷풀이를 하면서 술을 마시고 있을 것이다. ^^; 다음 번 문화행사인 당 타이손의 공연도 매우 기대된다. (그렇다. 쇼팽이 축복한 피아니스트, 동양 최초의 쇼팽 콩쿨 우승자가 여기에 와서 공연하는 것이다. 모두 많이 보러 오길.)

덧/ 며칠 후에 스팍스에서 우연히 류한승 선배를 만날 기회가 있었다. 그래서 여기에 쓴 것을 그대로 이야기했더니 실제로 자기가 그레고리안 성가를 무척이나 좋아하는데, 악보를 구하기가 쉽지 않아서 못 부르고 있다고 하였다. 역시, 노래도 자기가 좋아하는 스타일로 가는 모양이다.

Posted
Filed under 살아가기, 생각하기

사실 나는 인터넷 뉴스를 자세히 보는 편도 아니고, 학교에서 TV를 자주 볼 만한 형편이 못 되기 때문에 블로그 세상을 통해서만 간접적으로 황우석 교수에 관한 논란을 봐왔고, 따라서 구체적인 전말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그래서 그동안 포스팅을 꺼려하고 있었는데, 점점 가면 갈수록 이건 좀 아니다 싶었다.

일단 '황우석'이라는 한 개인의 이름을 떠나서, 어떤 과학자가 굉장히 국가 경제·명예에 도움이 될만한 연구를 한다고 해서 윤리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행동을 해도 되는 건 아니다. (나는 일단 황우석 교수가 이번에 발생한 윤리적 문제에 책임이 있는지 없는지는 모르겠다) 어쨌든, 그런 사항에 대해서 한 방송 프로그램이 취재를 통해 어느 정도의 문제점(잘잘못을 따지기에 앞서)을 발견했고 이를 기사화한다는 건 그 자체로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이다. 설령 그로 인해 그 과학자의 명예가 떨어질 수는 있어도 말이다.

그런데 하는 꼴들을 보고 있자니, 문제의 핵심에는 접근을 하지 않고 황우석 교수의 사퇴에 대한 '동정'에 연연해하는 분위기다. 그래도 블로거들 중에는 비교적 올바른 관점으로 이 사태를 바라보고 있는 사람들이 많지만, 뉴스를 통해 들려오는 일반 대중들의 반응은 정말 의외였다. (이미 많은 글들을 통해 어떤 반응들이 나오고 있는지는 잘 알고 있을 거라고 생각해서 따로 적지는 않겠다.)

내 개인적으로는 황우석 교수가 이번 사태에 대한 윤리적인 책임이 실제로는 없기를 바라지만, 만약 그게 아니라면 아닌 거다. 오히려 그렇게 감싸고 도는 분위기가 더 위험한 것이며, 그것이 언론에게 좋은 화젯거리 기사를 주어 더 들끓게 만드는 원인이다.

도대체 무엇이 중요한 것인지를 제대로 알고나 떠들었으면 좋겠다. 냄비근성이라는 게 부정적인 면만 있는 건 아니지만, 논리적으로도 객관적으로도 합당하지 않은 이유로 들끓는 건 정말 꼴보기 싫다.

추가로, 황우석 교수님이 잘못했다 하더라도 기본적인 인권 문제, 그리고 연구와 사태 조사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어야 한다. 생각해보라. 본의든 아니든 이런 엄청난 냄비성 논란에 휩싸이면, 더군다나 국제적으로도 각종 불이익 압력을 받으면서 어떻게 스트레스를 안 받겠는가. 정직하게 파헤치되 서로를 배려하는 마음이 필요해 보인다.

Posted
Filed under 컴퓨터

드디어 지난 밤에 공식 블로그를 통해 현재 진행 상황이 공개되었습니다. 이미 21일부터 저는 몇몇 블로거 분들과 함께 Closed Beta에 참여하고 있었고, 각종 버그나 개선 제안 등을 해오고 있었지요.

그동안 그렇게 오래 기다려온 만큼 태터 1.0은 그만큼의 보답을 하리라 확신합니다. 아직 베타 버전이라 자잘한 버그들이 조금 있지만, XHTML 1.1 완전 준수 및 스킨 하위 호환성 보장(새 버전에서는 카테고리를 ul, li 태그로 쓸 수 있는데 이전 스킨 사용자를 위해서 기존의 table 방식도 지원 등등), Directory Mapping을 이용하여 mod_rewrite나 mod_alias가 있다면 Fancy URL 사용 가능, imazing 및 javascript 기반의 슬라이드쇼 기능 내장, 웹표준을 최대한 준수할 수 있도록 노력한 WYSIWYG 에디터 제공, 그리고 Tatter Guild의 기본 플랫폼인 EOLIN 제공(이것을 통해 태터 센터를 사용자들끼리 만드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Tag Cloud 도입(카테고리와 태그를 동시에 사용 가능) 등 엄청난 기능들을 가지고 찾아옵니다.

일단 내부 코어 구조가 완전히 뒤집어졌기 때문에 그동안 써오던 랜덤 포스트 기능 등 태터 소스를 건드려서 고쳐 쓰던 팁들은 모두 무용지물입니다. -_-; 대신! Plug-in 시스템을 지원할 예정이라 합니다. 오늘 아침에 베타 테스트 블로그에 난 것을 보니 기본 시스템은 완성되었으나 당장 베타에 도입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하는군요. 이것이 가능해지면 드디어 일반 사용자들이 태터 소스를 뜯어고칠 일은 없어질 겁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태터툴즈의 동작 속도 또한 빨라졌습니다. 클베가 태터 컴퍼니에서 제공하는 곳이라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확실히 제 계정에서 돌아가는 것보다 빠릅니다. 실제 비교는 오픈 베타가 진행되면서 설치를 해봐야 알 것 같군요.

아무튼 태터툴즈 화이팅입니다!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