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breakin Things

Posted
Filed under 살아가기, 생각하기
어제도, 동아리에서 방학 내내 했던 세미나가 끝난 기념으로 종강 파티를 했다. 그런데 굳이 동아리가 아니더라도 개강 파티나 종강 파티는 으레 술먹으러 가는 것으로 알고 있다.

술을 마시면서 분위기도 띄우고 그런 건 좋다. 나는 술을 좋아하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싫어하지는 않는다. 내가 술을 싫어하지 않는 이유는 아이러니하게도 사람들과 터놓고 농담도 하고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취기에 의해 이어지는 아무 의미 없는 대화는 사양한다.

어제 한 선배가 이런 이야기를 했었다. 그 선배는 점점 새로운 후배들이 들어올수록 술을 안 마시는 경향이 강해진다고 하면서, 예전에는 사람들이 그저 술 자체를 좋아했었는데 요즘은 좀 많이 달라진 것 같다고 하셨다. (그걸 비판하거나 비난한 건 아니었다) 나는 앞으로는 술을 안 마시는 게 분위기를 헤치는 것으로 치부되어서는 안 되며, 사람들의 분위기도 개인의 선택을 존중하는 쪽으로 갈 거라고 생각한다.

내 윗세대의 사람들이 술을 좋아했고 '죽자~' 분위기를 좋아한다는 건 잘 안다. 하지만 이제는 관점을 바꿔야 한다. 술은 원하는 사람만 마시는 것이며, 본인이 원하지 않을 때는 술을 거절하는 것이 미덕이라는 것을 말이다.

"야, 이럴 때는 술 좀 마셔 줘야지~" 이런 생각 자체도 좋으나, 다른 사람에게 그걸 강요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술집에 가더라도 마시고 싶은 사람만 마시면 된다는 사실을 모두가 편안하게 느낄 수 있도록 바뀌어야 한다. ('논다'가 '술마신다'와 같은 말이 아니라는 사실을 명확히 인지하여야 할 것이다)
Posted
Filed under 살아가기, 생각하기
요즘 들어 사내 개발 버전에서 Acid 2 Test를 거의 통과했다는 웹브라우저 오페라를 설치해 보았다. (물론 그 버전은 아직 비공개라서 현재 버전은 그보다 조금 낮다) 오페라의 다운로드 및 설치·사용은 무료이지만 주소창 위에 뜨는 구글의 텍스트 광고를 없애려면 $39를 지불하면 된다.

일단 느껴지는 건 실행속도가 빠르다는 거였다. 프로그램 자체의 실행속도도 빠르고, 웹페이지 렌더링 속도도 빨랐다. 프로그램 내부적으로 ActiveX 개체를 가져다 쓰는지는 몰라도 Flash 렌더링도 Firefox에 비해서 좀더 빠른 것 같다. 다만 반투명 png의 렌더링은 오히려 느리다.

인터넷 뱅킹 등은 역시 ActiveX 문제로 안 되지만, 국내 포탈 사이트 등은 Firefox에서 이용할 수 있는 것처럼 뭐 심하게 깨지거나 그러진 않았다. 내 홈페이지의 첫화면은 역시 100% 표준 기반으로 만들어서 그런지 Firefox와 정확히 똑같게 나온다.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도 좋았다. 알고보니까, 탭 안에 툴바가 있는 IE7의 모습은 바로 오페라를 베낀 거였다. -_-;;; (오페라의 메뉴는 위에 있지만.. 하지만 사실 웹브라우저의 인터페이스라는 게 한정돼 있기 때문에 베꼈다고 뭐라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주소창에 주소를 입력하려고 하면 주소창 아래에 팝업 윈도우가 떠서 Home, Bookmark 등을 편리하게 클릭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그리고 브라우저 하단의 상태표지줄 대신, 주소창의 오른쪽 끝부분에 로딩 상태(page, image 등 자세하게 나누어 %로 표시됨)가 나오고, 주소창 오른쪽의 검색창은 Firefox 등과 같은 형태다.

상용 프로그램이라서 그런지 스킨 처리 등의 질은 타 브라우저에 비해 훨씬 뛰어난 것 같고, 일단 그 뛰어난 속도가 맘에 들었다. 윈도우에서는 오페라를 쓰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참고 : 오페라는 Mac, Linux, BSD 등을 위한 버전이 모두 나와 있고 Mobile OS(Windows CE나 Symbian 등) 용도 나와 있다.

덧/ 쓰다 보니까 Text Browser Emulation 모드도 있다. 그리고 Firefox의 Mouse Gesture와 같은 기능도 지원한다.
Posted
Filed under 컴퓨터
드디어 Mac의 웹브라우저인 Safari에서 CSS3에서의 Multiple Background를 지원한다고 한다. 내가 CSS2를 쓰면서 가장 아쉽게 느꼈던 부분이 바로 multiple background 부분이다. 크기 조절이 가능한 div 상자 같은 것을 만들고 둥근 테두리를 씌우려면 repeat되는 이미지와 그렇지 않은 이미지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나마 가장 비슷하게 한다는게 :before와 :after를 이용하는 방법이지만 IE에서 지원을 안 한다.

Firefox 1.5에서도 CSS3을 부분적으로 지원한다고 하는데 이 multiple background 기능은 꼭 포함되었으면 좋겠다. (그러나 IE가 지원 안 하면 대략 낭패.)

Safari의 Multiple Background 지원 : http://webkit.opendarwin.org/blog/?p=15
구현 예제 : http://www.quirksmode.org/css/multiple_backgrounds.html
Posted
Filed under 컴퓨터
어제 동아리 선배분과 웹표준에 대하여 잠시 이야기를 했었다. 그 선배는 석사 과정을 하면서학부 과정에 계시는데, 기업에서 근무도 해 보신 분이다.

그 선배가 말하길, 자기도 학부 때는 왜 사람들이 표준을 안 지키는 걸까하고 고민도 해 보고 답답하게 생각하였지만, 실제 기업에 들어가고 보니 어쨌거나 IE가 대세인 것이 현실이고, 웹표준이 academic 분야에서 나온 것이라서 실제 기업 환경에서 활용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고 지적했다. 특히나 웹에서 쓰이는 HTML은 초보자에게는 쉬워 보이면서 좀 제대로 하려면 어렵고, 숙련자에게는 뭔가 더 하고 싶은데 부족해 보이는 모호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실무에서도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IE 표준'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일단 그 선배의 관점도 충분히 이해는 되지만, 사실 웹표준의 제정 작업에 Microsoft 등의 거대 기업도 참여하고 IE에 적용하기 위한 표준을 제안하기도 하는 등(특히 CSS 3.0이 그렇다. 하지만 정작 IE에는 적용되지 않고 올 9월에 나올 Firefox 1.5에 먼저 적용된다. 아직 표준이 미완성이기 때문에 확실하게 정해진 부분만 지원될 것이기는 하지만..) 기업들의 필요에 의한 참여도 이루어지고 있다. 물론 Microsoft 뿐만 아니라 일반 웹개발 업체들의 의견이 반영된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이다. 지금까지 이 부분에서는 부족했을 수도 있다.

웹표준이 학술적 연구자들에 의해서만 지지받고 있다는 것도 예전엔 그랬을지 몰라도, 이젠 다양한 기업들이 웹표준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점차 변화해 나가려고 노력하고 있다. 가장 간단한 예로, channy라는 필명을 쓰시는 다음 R&D 개발 센터의 윤석찬 님도 웹표준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계시다. 아직까지 다른 많은 개발자들에게까지 확대되진 않았지만, 처음부터 제대로 배운 사람들은 당장 실무에 적용하기는 어려워도 점차 그 필요성을 인정하게 될 것이다.

CSS Design Korea 포럼에도 실제 상업용 웹사이트 제작에 웹표준, XHTML+CSS 기반 디자인을 적용하면서 느끼게 된 장점들을 쓴 글들이 나오고 있고, 단순히 academia에서만 웹표준을 지지하는 때는 지나가고 있다. 물론 아직까지 그 효용성을 인정하는 사람들은 전체적으로 봤을 때 극소수일 것이다.

사실, CSS 2.1까지만 해도 원하는 기능들을 다 구현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많고, W3C에서 CSS 3을 너무 더디게 개발하고 있는 것도 문제이긴 하다. 그리고 가장 큰 한계점은 강제성을 띠는 표준이 아니라 권고안이라는 데 있다. 또한 기업들은 어떤 숭고한 가치(만인을 위한 웹이라든가...)를 따르기보다는 경제 논리를 택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어쩔 수 없는 결과라고도 할 수 있다.

IT 업계에서 표준이 너무 빨리 바뀌고 새로운 기술들이 너무나 많이 등장하기 때문에 사실상 표준이라는 게 의미가 없다는 것도, 웹에서는 다르다고 본다. 일단 웹표준이라는 것부터 자체가 forward compatibility를 영두에 두고 만들어지는 것이고, 다양한 기술들을 html 문서에 포함시키기 위해 xml로 진화해 나가고 있다. (xml의 namespace를 이용하면 한 문서에 HTML, MathML, RDF 등 다양한 포맷을 넣을 수 있다) 그리고 선배가 지적한 것 중 하나가 실무자나 숙련자들이 쓰기 위한 것도 아니고 초보자가 쓰기 위한 것도 아니어서, 어느 한 쪽으로 가면 좋겠다고 했는데 XML화되는 것은 다름 아닌 실무자들을 위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이제는 HTML을 논할 때가 아니라 XHTML과 CSS를 논해야 할 때이다.

또한 나는 그 선배가 마지막에 말했던 '실무에서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IE 표준'이라는 데 의문이 생긴다. 확실히 Javascript는 IE 방식대로 짜는 것이 편리할 때가 많고 기능도 더 많이 지원되는 건 사실이다. 하지만 잘 생각해 보면 더 많은 사용자를 위한 실무에서의 크로스 브라우징 적용에는 IE가 가장 큰 걸림돌이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기업들의 이윤 측면에서 봤을 때 아직까지 크로스 브라우징을 통해 늘어나는 고객 수가 거의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씨알이 잘 먹혀들지 않지만, 이미 선진국들에서는 그러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고 Firefox에 의해 발생되는 트래픽이 상업적 가치를 지니기 시작했다는 증거도 나오고 있다.

가장 근본적으로 이 문제는 웹의 근본 정신에 따르는 가치관을 택할 것인가 경제논리에 의해 지금 당장 대세인 것을 택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로 귀결된다. 하지만 나는 경제논리로도 그 가치관을 따라야 할 날이, 비록 시간은 오래 걸릴지라도, 올 거라고 믿는다. 벌써 변화는 조금씩 시작되고 있다.
Posted
Filed under 컴퓨터
오늘 낭패 봤다. (.....)

요 아래 포스팅에서, IE에서 메뉴가 안 나오는 현상에 대해 멀쩡한 a 태그도 씹는다고 욕해놓았는데 알고 보니 내 실수였던 것이다.

php로 만든 결과물을 볼 때 Firefox의 소스보기를 이용해서 보고 있었는데, Firefox는 "<li"라고만 적은 것을 "<li>"라고 잘 보여주었던 것이다. 왜 이런 실수를 했는고 하니,

<li<?printSelected(101)?>><a href="test">공지사항</a></li> (O)
<li<?printSelected(101)?><a href="test">공지사항</a></li> (X)

php의 닫기 태그인 ?> 때문에 하나를 빼먹었던 것이다. OTL
(Firefox의 소스보기는 실제 원본대로가 아니라 브라우저가 인식한 대로 보여준다)

special thanks to 영준 선배.
Posted
Filed under 컴퓨터
'조만간' 1.0이 나오리라 생각하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좀더 개발을 공개적으로 하든가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했으면 좋았겠다는 생각이 든다.

JH님의 개인 사정이 그렇게 바쁘고 안 좋은 상황이었다는 것은 충분히 이해하지만(특히 운송업체-_-), 어쨌거나 기다리는 유저 입장에서는 애가 탈 뿐이다. CSS Reboot 프로젝트에 맞춰 XHTML+CSS 기반 디자인으로 리뉴얼을 계획하고 있는 나는 최근엔 꿈속에서까지 태터툴즈 1.0이 나오기도 했고, JH님의 블로그에 달리는 코멘트들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항상 탭 하나를 띄우고 있을 정도다. 지금 이 블로그를 웹표준에 맞게 바꾸려면 태터툴즈 소스를 대폭 수정해야 하고, 어차피 그런 문제가 해결될 새 버전이 나온다고 했으니 기다릴 수밖에 없는 것이다. (워드프레스 등으로의 이전도 생각해봤으나 태터에 대한 정도 있고, 포스트들이 보이는 상태에서 답글을 볼 때 그 포스트만 보이는 화면으로 넘어가지 않는 인터페이스가 마음에 들어서—이글루스나 워드프레스, 수정 등은 모두 refresh되거나 해당 포스트만 보이는 상태로 가야 답글과 트랙백을 볼 수 있다—계속 쓰는 것이다)

정말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태터툴즈가 차라리 오픈소스화되면 직접 개발 작업에 참여하고 싶은 생각까지도 든다. 5월 15일이면 나온다던 게 벌써 8월이 다 되었고, 막연히 한 개발자의 손에서 결과물이 나오기만을 기다려야 하는 게 답답하다. 일단 1.0이 나오고 나면 팀 프로젝트로 해서 패치 개발이나 사용자 피드백 같은 것들을 맡긴다고 하셨지만 아무래도 개인이 혼자 개발하다보니 말 그대로 '개인 사정'에 의한 지연은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JH님 본인 스스로가 자신을 너무 촉박하게 만들어서 오히려 역효과가 난 것도 있는 것 같다. 애초부터 버그가 전혀 없는 프로그램은 나올 수 없겠지만 모든 것을 프로그램으로 답하겠다고 하신 만큼 높은 품질로 나오길 바랄 뿐이다.
Posted
Filed under 컴퓨터
말이 필요없다. 뭐 아주 특별한 태그를 쓰거나 핵을 쓴 것도 아닌데 이젠 아예 있는 a 태그조차 깡그리 무시하고 테이블은 이상한 곳에 갖다 붙이질 않나...

IE ㅤㅂㅞㄺㅤㅂㅞㄺㅤㅂㅞㄺ


도대체 저럴 수가 있는 건가. 나는 분명히 표준대로, 정석대로 html과 css를 짰을 뿐이란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