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breakin Things

Posted
Filed under 컴퓨터
태터툴즈에 바라는 것 포스트 참고.

요즘 들어서 태터툴즈에 대한 회의를 느끼고 있다. 국내에서 설치형 블로그 툴로는 가히 최고라 할 만하며, 사용하기도 편하고 태터 센터라는 타 설치형 블로그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강력한 social network 기능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웹 표준에 관해서 블로거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다른 웹 서비스가 아닌, 블로그의 경우에는 특히 표준에 민감해야 한다. 현재 웹 표준을 제대로 지켰을 때 얻는 이득이 가장 눈에 띄게 잘 드러나는 것이 바로 블로그이며, 블로거들 자체가 비교적 표준에 관심이 많은 사용자 계층이기 때문이다. (물론 근본적으로 웹표준이 가지는 가치는 다른 대부분의 웹서비스에 적용된다)

그러나, 지금 0.96의 상황을 봤을 때, 1.0에서 XHTML을 지킨다고는 했지만, 단순히 validator 통과 정도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문법적인 부분만 고치고, 근본적으로 XHTML의 태그들—div, p, blockquote, ul, li, code 등—을 제대로 활용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0.96에서 추가된 지역 로그 기능이 그 대표적인 예다. 지역 로그 기능 그 자체는 신선하고 좋은 기능인데, 그걸 구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역 관련 글들을 트리 구조로 표시할 때 사용되는 indent를 단순히 치환자 하나로 width를 못박고 있다. XHTML의 ul, li만 제대로 활용하면 폭 조절도 자유롭고 스킨 제작자가 매우 유연하게 디자인을 짤 수 있는데 말이다. 이건 마치 table을 써야 한다는 것과 같은 격이다.

이는 물론 기존의 카테고리에도 마찬가지다. 카테고리도 ul, li만 써서 완전히 똑같이, 더 나은 모양으로 구현할 수 있는데 엄청난 양의 table 삽질 결정체다. 또한 달력 부분은 그 자체는 당연히 table을 써야 하지만 table과 CSS의 class를 올바로 알고 만든 것이 아니다. 달력 테이블에서 중심이 되는 요일은 td 대신 th로 써야 하며, 지금처럼 별도의 class로 처리할 필요가 없다. 또한 월별 이동을 하는 것도 caption 태그를 통해 해결 가능하다.

나는 태터툴즈를 떠나고 싶지 않다. Validator만 통과하는 표준 준수가 아닌 진정한 XHTML을 지향하는 태터툴즈가 되길 간절히 바란다. (하위 호환성을 조금 포기하더라도 말이다.)
Posted
Filed under 컴퓨터
태터툴즈를 쓰면서, 초보자에 대한 접근성이 높다는 건 좋았지만, 이제는 태터가 블로그 편집할 때 자동으로 넣어주는 <br/> 태그까지도 불편하다.

포스트 자체도 XHTML에 맞게 작성하려고 보니 스타일을 지정하여 h1, h2, h3 태그를 테스트했는데 블로그 편집 화면에서 엔터를 한 번도 안 치고 써야 제대로 나오기 때문이다. 자동으로 줄바꿈하는 게 들어가 버리니 h? 태그들 사이의 간격 지정이 제대로 먹지 않는 것이다.

게다가, CSS Reboot 이벤트를 위해선 전체가 완전한. 제대로 된 XHTML 형태로 가야 하는데, 1.0이 나오더라도 카테고리, 달력, 지역 로그 등이 단순히 표준만 맞추고 XHTML의 원래 태그들을 제대로 활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스킨에 대한 하위 호환성을 보장하겠다고 했는데 바로 그것이 문제인 것이다.

따라서, 아무래도 정말 표준을 지키기 위해서는 워드프레스로 가야 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워드프레스는 애초 목적에 웹 표준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고, 초기와 달리 한국 사용자층도 늘어서 이제 쉽게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1.0이 어떻게 나오는지 보고 나서, 이사를 심각하게 고려해봐야겠다.

덧/ 백문이 불여일견. 워드프레스 시험 가동을 시작했다. http://daybreaker.info/wp/

덧2/ 워드프레스 설치해 보니, 설치는 정말 무지무지 간단. 웹서버의 MySQL 설정만 wp-config.php 파일에 넣어주는 것만 하면 설치는 단 몇 번의 클릭으로 끝난다. ("뭔가 복잡한 걸 기대하셨나요?"라는 센스-_-)
Posted
Filed under 컴퓨터
요즘 들어 내가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웹 표준. 그런데 막상 그 표준을 제대로 지키기 위해 사용하는 DOCTYPE 선언에 대해서는 copy & paste만 해왔을 뿐 그 자체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지는 못했다.

Wikipedia를 찾아보니 설명이 자세히 되어 있었다.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라는 것을 예로 들어 보겠다.

HTML : 문서의 type을 지정하는데, 웹 문서는 보통 html이라고 쓰면 된다. (그 외의 경우는 본 적이 없다.. -_-)

PUBLIC : SGML에서 정의되는 것으로, 이 문서가 한 어플리케이션에서만 사용되는 것인지, 여러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전자는 "SYSTEM"이라고 적고 후자는 "PUBLIC"이라고 적는다. (역시 웹문서는 다양한 브라우저를 통해 실행되므로 PUBLIC이다)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XHTML 1.0을 쓸 건지, Strict 규칙보다 덜 엄격한 Transitional을 쓸 건지, 또 XHTML이 아닌 HTML 표준을 쓸 건지 지정하는 부분이다.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 Document Type Defintion 정보가 있는 파일을 가리킨다. 자기 서버에 사본을 복사해서 그 경로를 가리켜도 되지만 보통 w3c 서버에 있는 파일을 가리킨다. DTD 정보는 이 문서에서 사용될 수 있는 태그의 종류와 각 태그의 속성, 속성에 들어갈 수 있는 값을 형식, 특수문자나 문자열을 정의할 수 있는 entity 선언 등을 가진다.

DOCTYPE에 DTD를 바로 inline으로 쓸 수도 있다.

<!DOCTYPE foo [ <!ENTITY greeting "hello"> ]>

위와 같이 하면 &greeting;이라는 문자열이 문서에 있으면 자동으로 hello라는 문자열로 바뀌어 표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