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breakin Things

Posted
Filed under 컴퓨터
이것으로 기말고사 종료 기념 포스팅 몰아쓰기는 마지막이다.

어제 미적분학 공부를 하다가 잠시 모질라 포럼에 들어갔었는데, 감동적인 글이 하나 있었다. 바로, 1급 시각 장애인이 직접 인터넷을 이용하면서 겪는 불편함을 써 놓았던 것이다.

그 중 일부를 인용하자면,

···
전 시각 장애인이고 그 중에서도 1급입니다. (완전 안안보여서 스크린 리더- 화면낭독 프로그램를 이용함)
···
시각장애인 들이 오히려 이 문제에 대해 무감각하다는 생각이 들었을 정도니까요. 그저 컴퓨터를 조금 다룰 줄 아는 사람들이야 인터넷을 잘 쓰고, 비록, 응용 프로그램들은 잘 알지만, 인터넷 항해에 미숙한 시각 장애인들은 완전 도태되어 있거든요. 한마디로 차별에 차별을 또 받는다는 얘기죠. 옆에서 인터넷 항해에 미숙한 시각장애인 사용자를 보면 정말말 안스러웠습니다.
···
예전이랑 별로 변한게 없는것 같아서요. 이런 생각도 했었습니다. 차라리 인터넷 같은거 때려치고 텔넷이나 쓰자고. 그게 제일 편하다고...
···
그래서 많은 사이트를 방문하지는 못합니다. 솔직히 새로운 사이트를 가기도 싫고요. 기술이란게 발전하고, 세상이란게 발전한다드만, 오히려 그런 것들이 특정 사람들에게만 도움이 되고 쓰여지기도 하고, 특정 사람들에게는 골치덩어리이며 아주 머리에 불이 오르게 하는 것이 되어버리고...
···


컴퓨터라는 것 자체가, 모니터라는 시각적 출력 장치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시각장애인들은 컴퓨터를 쓰는 것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지금까지는 막연하게나마 장애인들을 포함해서, 모든 사람들이 고루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생각에 웹 표준을 지지했지만, 이런 글을 읽고 보니 역시 실제로 겪는 사람이 느끼는 것에는 비할 바가 못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웹 표준은 이제 지지해야 할 것이 아니라 기본적인 필수 사항이다.

"예전이랑 별로 변한게 없는것 같아서요. 이런 생각도 했었습니다. 차라리 인터넷 같은거 때려치고 텔넷이나 쓰자고. 그게 제일 편하다고..."

이렇게 되고 싶은가?

덧. 물론 어디까지나 시각장애인들은 소수이고, 실제 모든 웹사이트에서 이들을 고려한다는 건 아직까지 너무 많은 것을 바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 포스트 답글 중 윤석찬 님이 쓰신 내용을 보니 웹 표준을 지키는 사이트들에 대해 스크린 리더가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테스트를 연구 중이라고 하니 굳이 시각장애인들을 따로 고려하지 않아도 웹 표준을 지키면 자연스레 해결될 것이다. (사실 표준의 목적이 그것이다)
Posted
Filed under 살아가기, 생각하기
1. 이제껏 살아오면서 이성에게 들었던 말 중, 가장 황당한 말은?

음.. 이성이라... 그냥 같은 반, 동아리 정도로 아는 사람 말고는 이성 친구가 없었음..

2. 동성에게 들었던 말 중 가장 황당한 말은?

글쎄.. 별로 기억이 안 나는데..

3. 지금까지 받았던 성적 중 최악의 점수는?

정확한 점수는 알 수 없지만, 아마 경기과학고 구술고사 물리 시험이 아니었을까 생각된다. 내가 기억하는 점수로는 중학교 2학년 때 가정 시험 79점이 최하. (그때 담임 선생님이 가정 선생님이셨다 -_-)

4. 다른 사람의 꿈에 나타날 수 있다면 누구의 꿈에,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겠는가?

이 세상에서 가장 절망에 빠져 있는 사람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대화자로 나타나고 싶다.

5. 엄청나게 증오하는 사람이 지금 당신 앞에 있다. 하루동안 그를 마음대로 할 수 있다면 무엇을 하겠는가?

그가 남의 바른말을 진지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또 뒤에서 남을 깔보거나 농담으로라도 비하하는 일이 없도록 만들 것이다. (구체적인 행동을 어떻게 하게 해야 할지는 아직 모르겠다)

6. 동성에게 고백을 받아 본 적이 있는지? 없다면 받았을 때 어떻게 할 것인가?

ㅤㅂㅞㄺ. 없다. -┏

7. 자기 자신이 정말로 사랑스러울 때는?

피아노를 치면서 자아 도취에 빠질 때. -_-

8. 호감 정도 갖고 있는 이성이 갑자기 키스하려고 하면?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은밀한 곳이라면...??

9. 상대방이 뻔히 보이는 거짓말을 할 때 어떻게 하는가?

날카롭게 지적해 준다. 물론 이것이 때로는 좋지 않을 때도 있다.

10. 개인적으로 이 10문 10답을 꼭 해 주었으면 하는 사람 10명은?

이런 건 귀찮으므로 패스. polarnara, 마노, ilmol 님 정도면 좋을 것 같기는 하다. :>
Posted
Filed under 컴퓨터
드디어, Total Annihilation의 제작을 맡았던 크리스 테일러(현재는 GPG 소속)가 후속작을 일부 공개했다. 제목은 Supreme Commander, 출시 예정은 2006년.

http://www.tauniverse.com/forum/showthread.php?t=31223
(중간에 PC Gamer 표지가 있다. 원래는 내용도 스캔되어 있었는데 저작권 문제로 삭제된 상태. TA Korea Fansite를 참조해도 된다.)

그래픽은 현재 나오는 전략 시뮬레이션에 비해 다소 옛날 게임이라는 인상을 주고 있지만, TA를 계승한다는 측면에서 그 게임 자체의 가치를 높게 살 만하다.

하지만, 저 게임에서 걱정되는 것은, 오리지날 TA처럼 customizing이 가능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기존 TA 팬이 아닌 일반 대중들이 저 게임에 관심을 둘 지 여부다.

TA는 hpi라는 게임 데이터 압축 포맷이 공개되면서, 게임에 사용되는 모든 데이터 - 유닛, 무기, 그래픽, 맵, 인공지능 프로파일 등등 - 에 접근이 가능했고 따라서 손쉽게 mod를 제작할 수 있었다. TA가 지금까지도 계속 인기를 끌고 있는 비결은 나온 지 8년이나 되었지만 끊임없이 새로운 유닛과 맵이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스위스의 한 프로그래밍 그룹에서 TA Spring 프로젝트(무려 GNU GPL로 배포되는 Open Source이다!)를 시작하여 기존 게임의 유닛과 플레이 방식을 그대로 가져와 Full 3D 게임으로 remake하고 있을 정도다. 그러나 후속작에서도 이런 확장성을 과연 얼마나 지원할지는 미지수다.

또 하나의 문제는, 현란한 3D 그래픽이 당연하게 여겨지고 있는 현재 상황으로 봤을 때 다소 고전적인 느낌을 풍기는 스크린샷(현재 공개된 것들)은 기존 TA 게이머가 아닌 다른 사람들이 그 게임이 출시되었을 때 "와, 한 번 해볼까"라는 생각을 가지게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그래픽 문제는 정식 버전이 발표되기까지 많은 시일이 남았으므로 좀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게임이 예전 TA의 명성을 다시 살릴 수 있을까? 어찌됐건, 이 게임은 내 지름목록 1순위로 예약이다. :)
Posted
Filed under 살아가기, 생각하기
원래는 주말마다 집에 가서 부모님과 함께 수지 성당에 가지만, 시험 기간인 경우에는 집에 가는 것이 시간 손실이 크기 때문에 집에 가지 않고 학교 옆에 있는 궁동 성당을 간다.

궁동 성당은 규모는 크지 않지만 성당 건물도 꽤 잘 디자인된 편이고(특히 내부), 분위기도 오붓하다.

그런데, 저번 일요일 날, 프로젝터로 청소년 성가 404번을 보는 순간 드는 생각이 있었으니...

보기

Posted
Filed under 살아가기, 생각하기
드디어 기말고사 끝!

- 기초생물학 : 역시나 단순 암기 문제들. 나중에 확인해 보니 다행히 헷갈렸던 것들 중 상당수가 맞았다.

- 미적분학 : OTL.... (점수를 예측할 수 없음)

어쨌든 이렇게 1학기가 마무리.......되는가 싶었는데 논술 기말보고서와 물리 실험보고서가 아직 남아 있다. -_-

중간고사 때 어이없게 20점을 날려버린 것만 아니었다면 미적분학 성적을 좀 기대해도 좋으련만... B0 이상이나 가까스로 나오길 바래야 하는 이 처지. orz

이제 슬슬 기말고사 끝나고 하기로 했던 일들을 해 볼 차례다.
(아.. 물론 그동안 미루었던 블로그 포스팅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