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breakin Things

Posted
Filed under 컴퓨터
다른 건 몰라도, 이건 빨리 고쳤으면 좋겠다.

바로 아래 포스트에 코멘트 쓰신 분의 블로그(그분도 태터이다)를 갔더니 최신글에 한 신문기사에 관한 링크가 있었는데 그걸 클릭하니 '삭제된 기사입니다'라고 뜨는 것이었다. 혹시나 해서 주소창을 확인해봤더니, 아니나 다를까 -_-;;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S2D&
amp;amp;amp;office_id=020&article_id=
0000285150&section_id=102&a
mp;amp;amp;section_id2=250&menu_id
=102
(길어서 줄로 자름)

뭐.. 이런 상황이었던 것이다.... orz

JH님, 이것만은 빨리 고쳐주세요~!

ps. 저 아래 또다른 포스트도 그 문제 때문에 그냥 주소를 다 써서 자동링크로 만들어 버렸다.
Posted
Filed under 컴퓨터
자.. 또다시 포스트를 지른다. -_-;
올블에서 본 것인데, KAIST라는 단어가 눈에 딱 띄어 클릭했는데 읽어볼 만한 자료다.

2Z의 블로그 - KAIST 전길남 교수님 인터뷰

나도 우리나라의 인터넷이 80년대 후반 KAIST의 연구 과정을 거쳐 탄생했다는 사실은 어렴풋이 알고 있었지만, 리눅스가 개발될 당시 KAIST에서도 그와 같은 작업을 하고 있었고(만약 교수님의 말대로 개발하던 대학원생이 취직하지 않고 더 연구했더라면 정말로 우리가 아는 오픈소스의 역사가 바뀌었을 것이다), 우리나라가 미국에 이어 세계 두번째로 인터넷을 시작하였으며 Node 역할을 하는 장비도 독자 개발했다는 사실은 처음 알았다.

우리나라가 세계 2위의 인터넷 강국이며 한글 도메인 주소가 유일하게 영어 외로 인정되었다는 건 역시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에 정곡을 찌르는 한말씀.. '블로그를 하면 논문이 제대로 안 나오니까...' 헉스.. 지금의 상황이 딱 그렇다. 온종일 장길산만 읽어도 시간이 모자라는데 몇시간째 블로깅만...-_- OTL

이미 기사에서 대부분 다루고 있는 이야기지만, 이 교수님이 흑백 TV 보던 시절에 인터넷을 개발할 생각을 하셨듯이 그런 앞날을 내다볼 수 있는 안목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