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breakin Things

Posted
Filed under 살아가기, 생각하기

지난 28일, 드디어 새 국립중앙박물관이 문을 열었다. 나라의 경사라 할 만하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잘 모르는 그 이면의 이야기를 조금 할까 한다.

실은 이게 아버지 회사에서 설계한 건물이다. 설계부터 감리까지 무려 10년 가까이 걸린 대형 프로젝트였고, 일상에서도 아버지가 하시는 말씀 중에 "박물관 프로젝트"라는 말이 이미 많이 들어왔다.

아버지 회사에서는 농담 반 진담 반으로 박물관 앞의 거울 연못을 눈물못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사실 현재 완성된 박물관은 처음 설계하고 계획했던 것과 조금 다르다. 거울 연못 중에서 수면과 흙땅이 직접 만나는 경계 부분을 자연 형태로 설계했었는데, 공무원들의 입김(?)으로 인공적인 형태로 만들게 됐다는 것은 이미 오래 전에 들은 이야기다. 이미 전문 설계자들이 디자인 컨셉에 맞추어 잘 만들어놓은 디자인을, 전문적인 식견도 없는 공무원들이 단지 발주자라는 이유로 설계 변경을 요구한다든가 하는 일이 많이 있었고, 아버지나 회사 사람들이 그런 것 때문에 마음 고생을 많이 했다. (세세한 내막은 나도 잘 모르지만 대략 어떤 상황인지는 알고 있다)

또 하나 섭섭해 하시며 이야기했던 건, 박물관 개관 행사에 대표 설계자를 초청하지 않았다가 뒤늦게 행사 당일에서야 그를 부른다고 난리를 쳤고, 개인적인 사정이 있었던 그 분은 아마 자리에 참석을 못했을 거라는 것이다. 실제로 정말 고생한 사람들은 뒷전에 두고 겉으로만 와와대는 모습, 별로 보기 좋지 않았다.

이번에 개관을 하면서 언론에서도 대대적으로 보도하고 난리다. 그렇지만 기자들의 전문성도 많이 떨어진다고 한다. 아버지 말씀으로는 4만 1천평인데 동아일보에는 1만 4천평이라고 기사가 났다고 하고, 전시 면적보다도 수장고라든가 교육 시설·연구 시설 등의 규모가 더 중요한데 겉으로 드러나는 것만 다룬다는 것이다. 그리고 규모가 세계 6위라는 것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 같다. 규모가 크다고 해서 그게 전부가 아닌데, 실제 그 속이 더 중요한 것인데, TV도 그렇고 신문도 그렇도 질보다 양만 강조하는 것이 맘에 들지 않았다.

이 외에도 열린음악회를 한다면서 무대를 설치하는 바람에, 원래 사람들만 다닐 것으로 설계했던 외부 돌바닥 일부가 깨졌다고 하는데, 이런 것 또한 설계자 입장에서는 맘에 들지 않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건물을 원래 의도했던 대로 사용하지 않으면서 그것도 피해를 준다는 것. 물론 열린음악회의 취지는 좋지만 말이다.

그나마 다행인 건, TV 뉴스에서 "웅장하고 단아한"이라고 표현했다는 게 원래 컨셉과 대강 맞아떨어졌다는 정도일까. 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아버지를 통해서 알게 된 많은 사람들의 노고가 숨어있었기에, 또한 내가 모르는 다른 많은 사람들의 애환이 있기에 지금의 박물관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사실, 24시간 항온·항습 장치를 건물 전체에 적용되도록 설계·시공까지 해놓았는데, 운영 비용이 부족해서 24시간 가동을 못한다고 한다. 이런 것도 참 아이러니라고밖에 할 수 없다.

Posted
Filed under 컴퓨터

꽤 오래 전부터, 대략 나모웹에디터가 나올 때쯤부터 위지윅이라는 단어가 대세를 이루기 시작했다. "What you see is what you get." 보는 대로 얻는다는 말인데, 보통 웹에디터나 워드프로세서 등에서 "편집할 때 보이는 것 그대로 결과물이 나온다"는 뜻으로 사용된다.

요즘 들어서, 과연 이것대로 가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인가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다. 분명히, 처음 사용자 입장에서는 위지윅이 편하다. 하지만 (특히 웹 분야에서) XHTML의 구조적 특성이나 CSS 기반 디자인 등을 잘 살리려면 위지윅처럼 쉬운 사용 환경을 어느 정도 버려야 한다.

어느 정도는 툴이 해결할 수 있지만,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부분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정말 근본주의적 입장을 취하면, 웹페이지에서 bold체 글꼴을 쓰는 것조차 그에 맞는 XHTML 태그에 CSS로 디자인을 정의하는 것이 정석이다. 하지만 그렇게 하면 E-Mail을 보냈을 때 보는 환경(웹메일인 경우 특히 더 그렇다)에 따라 bold로 나올 수도, italic으로 나올 수도 있게 된다. 즉, 원래 의도하고자 했던 것과 멀어지는 결과를 낳는다.

현재 gmail의 경우는 <span style="font-weight:bold">를 써서 해결하고 있다. 보통은 <b> 태그를 쓰는 방식일 것이다. 하지만 둘 다 완전히 구조적인 활용이라고 볼 수는 없다.

이러한 맹점도 있지만, 웹표준을 정말 깔끔하게 지키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편의성에 반하는 부분이 존재한다. (단순한 웹사이트의 정보이용자가 아니라, 블로그나 게시판처럼 뭔가를 작성할 경우에 말이다) 시맨틱 웹의 입장에서 봤을 때 위지윅이 Web/XHTML 등에 비전문가인 정보생산자들에게 좋은 영향을 준다고 말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아직은 자동화된 툴이 알아서 짜 주는 코드보다 사람 손으로 짠 코드 내지는 자동 생성 코드를 손으로 정리해준 코드가 더 깔끔하고 웹의 정신에 부합한다. 코드의 간결성이 꼭 절대적인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는지의 문제도 있는 데다, 게시판·블로그와 같은 경우는 더더욱 논쟁거리가 된다.

이러한 괴리의 대안으로 위키 문법 등이 있겠지만, 게시판·블로그 사용자에게는 사실 XHTML을 조금 배워서 사용하나 위키 문법을 배워서 사용하나 큰 차이가 없다. 이 상황에서 항상 위지윅으로 가야 한다고만 말할 수 있을까? 기술이 발전하고, 혹은 인공지능이 등장해서 사람이 하는 일을 대신한다면 해결될 수 있는 문제일까?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로 추구해야 하는가, 아니면 보다 근본적인 가치를 위해서 일부 희생해야 하는가? 고민된다.

Posted
Filed under 살아가기, 생각하기

오늘(이 아니라 어제군요;) 자전거로 왕복 60km를 달려 개포동에 다녀왔습니다. 이번엔 개포 성당까지 갔었는데, 자전거를 30km 이상 뛰고도 그 길고도 길게 느껴지던 언덕은 식은죽 먹기(...)로 올라가지더군요. (개포동 사시는 분들이라면 경기여고와 3단지 사이로 올라가는 그 언덕길을 아실 겁니다)

개포 성당에 가니 누군가의 결혼식을 하고 있었는데, 어렸을 때 그렇게 커 보이던 성당이 지금 가보니 왜 그렇게 작게 보이던지.. 지금 다니는 수지 성당이 수원교구에서도 가장 큰 곳이라 하니 그럴 만도 하겠죠. 그래도 제가 어렸을 때 봤던 것들—심지어 지하1층 남자 화장실에 붙어있는 "10개월 태아의 발 - 생명 수호"라는 스티커까지—은 모두 그대로더군요.

전에 갔던 그 화방에 들러서 이번엔 진짜로 잉크를 하나 샀습니다. -_- (아니, 우리 동네는 그런 화방이 없어서 무려 서울까지 가야 한다는... 알파 문구가 하나 있기는 하군요.) 아저씨는 저번에 한 번 봐서인지 금방 기억을 하시고, 아주머니는 아직 못 알아보신 듯. 뭐 그냥 동네 잠시 둘러보고 돌아왔습니다.

그런데 오늘부터 초겨울 날씨라고 하더니만 왜이렇게 으슬으슬 추운지.. -_- 그야말로 "덜덜덜". 어찌어찌해서 집에 오기는 했는데 몸 상태가 그리 좋진 않네요. 그리고 결국 불꽃축제는 안 갔습니다. 시간도 시간이거니와 교통 통제·수많은 인파 등으로 고생만 할 것 같아(그렇다고 제가 사진 기술이 좋아서 멋진 사진을 찍어올 수 있을 것 같지도 않고) 그냥 포기했습니다. 블로그 스킨은 아는 사람한테 사진을 부탁해서 얻든지 해야 될 듯. ;;

결론 : 다들 감기 안 걸리게 조심하세요.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