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breakin Things
<스포일러 주의>
거의 반년 동안 기다렸던 영화다. 많은 이들이 이야기하듯 호불호가 갈리는 측면도 있고 영상과 음향은 압도적이었지만 스토리는 다소 진부하다는 평을 들을 만하다. 양자역학이나 상대성이론의 수식을 직접 다룰 수 있을 만큼 공부하지는 못했지만 나름 학부 때 물리학 부전공을 시도했을 만큼 관심이 많았기에 영화에 나오는 내용이나 설정 정도는 아주 가볍게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었다. 대중 상업 영화에서 이만큼이나 보여주고 설명해낼 수 있었다는 점에 감탄했다.
영상미의 측면에서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21세기 버전이라 칭함에 손색이 없다. 궤도 상의 우주선들이 도킹하는 장면이나 중력을 만들기 위해 회전시키는 장면, 그리고 아무 소리가 없는 우주 씬들과 순간순간 클라이막스마다 나오는 장엄한 음악은 그야말로 압도적이었다. 웜홀과 블랙홀에 들어가는 장면도 상당히 인상 깊었는데, 기존의 SF 영화에서는 대체로 동그라미처럼 생긴 '구멍'이 우주선 앞에 만들어져 그 안으로 그냥 쑥 들어간다.. 이런 형태로 묘사된 반면 인터스텔라에서는 3차원의 구멍은 곧 구체라는 사실에 입각해 구체로 표현하고 그 주변을 빙글빙글 돌다가 표면(특이점)에 닿는 순간 이동이 이뤄진다는 형태로 묘사했는데 이러한 디테일은 물리학을 공부하지 않고서는 생각해내기 어려운 부분이다.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오마주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은 토성 궤도에서 웜홀이 생겼다는 점(소설에서는 토성이고 영화에서는 목성으로 나왔지만)이나 주인공들을 도와주는 인공지능 로봇들이 접혀있는 형상이 마치 monolith와 비슷한 인상을 풍긴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 로봇들도 참 인상깊었는데 직육면체 모양의 몸을 여러 개의 기둥으로 쪼개서 극한 환경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는 걸 보니 로봇공학의 최신 경향도 열심히 공부했구나 하는 인상을 지울 수 없었다.
개인적으로 꼽는 이 영화의 최대 명장면은 바로 머피가 '유레카! 유레카!! 유레카!!!'라고 외치며 중력방정식의 해를 프린트한 종이를 연구소 안에 여기저기 던지는 모습. 많은 물리학자들의 염원인 통일장 이론을 완성한 순간일까? 실제로 인류가 적극적으로 우주개발에 나서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중력 때문이다. 지구 궤도로 1kg의 질량을 올리기 위해 드는 비용이 너무나 비싸다. 만약 중력을 정복해 이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고, 더 나아가 중력 자체를 인공적으로(질량 대신 에너지를 사용한다든가) 만들어내거나 없앨 수도 있게 된다면 스타워즈에서나 보던 것과 같은 우주시대가 활짝 열릴 것이다. 그런 점에서 내가 죽기 전에 인류가 중력을 정복하는 모습을 보고 싶은 게 나의 소망이라면 소망이니, 머피가 중력방정식을 풀고 기뻐하는 장면을 보고 어찌 내가 기쁘지 않을 수 있었을까. 물론 영화의 스토리 상으로도 불가능으로 여겨졌던 플랜A를 성공시킬 수 있게 된 순간이니, 가히 클라이막스의 한 장면이라 할 수 있겠다.
사람들이 잘 이해하지 못한 경우가 좀 있는 것 같지만 이 영화가 과학적 측면에서도 정말 흥미로웠던 부분은 블랙홀 안에서 바깥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유일한 방법이 중력이라는 설정이다. 왜 0과 1(모스부호)로만 정보를 표현하는지에 대해 궁금해하는데, 이는 정보의 "encoding"이라는 개념을 이해해야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중력을 통해서 정보를 전달해야 하는데, 중력 자체는 눈에 보이는 것이 아니므로 그걸 상대방이 알아볼 수 있는 어떤 유의미한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서 책을 일정 순서로 떨어뜨리거나 모래가 모이는 위치를 바꾸거나 시곗바늘을 움직이는 식의 간접적인 형태로 표출한 것이다. 이때 가장 쉬운 방법은 0과 1의 2가지 상태만으로 정보를 표현하는 것이고 결국 binary 인코딩을 사용한 것.
또, 사람들에 따라서는 본격적으로 우주여행이 시작되기 전 초반 40여분의 러닝타임이 지루하다는 경우도 보이는데, 나는 오히려 그 부분이 굉장히 현실감 있고 좋았다. 뒤쪽의 우주여행에 대한 motivation을 만들어주는 부분이기도 하고. 흔히 나오는 디스토피아 영화들처럼 어떤 일순간의 사건으로 갑자기 세상이 종말하는 것이 아니라 꾸준하게 늘어나는 자연재해(영화에서는 황사로 묘사)로 점점 사막화되고 생존 여건이 나빠져가는 상황과 그에 따른 사람들의 심리적·사회적 변화를 너무나 잘 표현했다. 거시적인 모습보다는 한 가족이 접하는 일상의 장면들을 보여줌으로써 말이다.
스토리의 구성은 SF물을 많이 접했던 사람들이라면 '이건 어디서 따오고 저건 어디서 따오고 요건 어디서 먼저 시도했고...' 등등의 생각이 많이 떠올라 식상하다는 느낌을 지우기 어려울 것이다. 그렇지만 나는 이 작품이 오히려 (하드) SF물을 별로 접해보지 못했던 사람들에게 더 큰 감동을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자라나는 10대들이 이 영화를 본다면, 우주개발을 꿈으로 삼는 이들이 많아질 것이다. 하드 SF에 가까운 물리학적 관찰과 표현을 넘어 가히 철학적 SF라고 봐야 하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세련된 영상미를 보다 많은 사람들이 쉽게 받아들이고 즐길 수 있도록 풀어냈다는 점이 오히려 미국 헐리우드와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내공이라고 할 만하다.
시간이 허락된다면 공대생(...) 친구들이나 가족들과도 한번 더 보고 싶다. 기왕이면 제일 큰 스크린의 영화관에서. 오래오래 상영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