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breakin Things

Posted
Filed under 살아가기, 생각하기
예전에 KAIST 합격 소식을 전하러 정평중학교에 갔었는데, 그때 방송부 아이들을 만나 피자도 사 주고, 담당 선생님도 만났었다. 내가 방송부에 있었을 때는 매우 허접(?)했는데, 학교에서 특별 사업으로 인터넷 방송국으로 업그레이드시키면서 갑자기 몰라보게 좋아졌다.
(심지어는 교무실 절반을 떼어 방송 스튜디오로 개조했을 정도다)

나는 정평중학교 1회 입학, JBS의 창설 멤버, JBS 2기 방송부장을 했었는데, 처음에는 학교 공사가 덜 끝나 방송실은 커녕 달랑 교내 방송용 마이크와 시보기(수업 종 치는 것)만 교무실 구석탱이에 놓여 있었고, 선생님들이 전원을 자꾸 끄는 바람에 수업 종 안 치는 걸 고치러 뛰어다니는 것으로 시작했다. (-_-;;)

그렇게 시간이 지나고 2학년 때 본격적인 방송부 활동을 시작했으나 미흡한 점이 매우 많았다. 다행히, 그때 새로 오신 기술 선생님이셨던 정영주 선생님이 많이 도와 주셔서 그나마 잘 이루어질 수 있었는데, 3학년이 되자 창설멤버 2기 3명(나 포함) 중 2명이 전학을 가 버리는 바람에 어부지리(?)로 방송부장이 됐던 것이다. 아무튼 이때 가장 심하게 고생을 했고, 여차저차 한 끝에 경기과학고에 오고 말았다.

그 이후로는 거의 연락도 못하고 지내다가 올해 KAIST 합격 후 찾아갔던 것이다. 내가 있을 때에는 녹화한 것을 편집하려면 가정용 비디오 플레이어에서 녹화/정지/재생/되감기를 수십번 노가다를 해야 했었는데 지금은 최신 컴퓨터를 갖다 놓고 모두 Adobe Priemere로 편집하여 인터넷 방송까지 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그때도 영상제 같은 것을 나가 보고 싶었지만 포스터만 붙여놓고 '편집'을 할 수 없어 못 나갔다)

2년의 세월이 참 무서웠다... -_- 차마 내가 들어가기가 부담스러울 정도...
나날이 발전하는 것도 좋지만 예전 창설 멤버들처럼 끈끈한 맛이 아직도 남아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아무튼 앞으로도 발전하는 정평중학교 방송부가 되길 바라며...

ps. 덕분에 내가 2학년 때 만들어 계속 우려먹었던(?) 기존의 JBS 홈페이지는 드디어 그 명이 다했다... -_-

link : 정평중학교 인터넷 방송국, JIBS
Posted
Filed under 살아가기, 생각하기

박선원 노영해 부부교수, 그랜드 피아노 기증

생명화학공학과 박선원(朴善遠, 56), 인문사회과학부 노영해(盧永奚, 54) 교수 부부가 학생들이 여가시간을 이용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해달라며 1,250만원 상당의 그랜드 피아노(KAWAI 그랜드피아노 /모델명 GE20) 1대를 학교에 기증했다.

盧 교수는 “학사과정 재학생들의 예술적 소양을 함양시키기 위해 서양음악사, 합창, 실내악, 즉흥연주 등 음악과목 수업도 많이 늘어났지만, 현재 사용 중인 피아노는 7년이 훨씬 넘은 제품이다”라며, “학교 경비로도 피아노 구입이 가능하겠지만, 지난 8월 학생처장을 맡고 보니 꼭 학교 경비로만 모든 일을 할 수 있는 건 아니란 걸 느꼈다.”고 말했다.

朴교수는 “학교에 기여하는 방법이야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든든한 기금과 장비를 마련해주는 것도 매우 중요한 일”이라며 기증의 의미를 밝혔다.

지난 2000년부터 3년 남짓 KAIST 발전기금재단 상임이사직을 맡기도 했던 박 교수는 재직 중 발전기금 1천만원을 기부하기도 했다.

서울대 화공과를 졸업한 朴교수와 서울대 기악과에서 피아노를 전공한 盧교수는 대학 재학시절인 1970년에 만나 1972년 결혼한 캠퍼스 커플이다. 미국 유학길에 오른 두 사람은 텍사스 대학 오스틴 캠퍼스에게 각각 공학과 음악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朴교수는 1988년, 盧교수는 1997년 KAIST 교수로 부임했다.

朴, 盧 부부 교수가 기증한 피아노는 KAIST 시청각실에 설치하고 음악을 좋아하는 학생이라면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개방할 계획이다.

출처 : KAIST 홈페이지

좋아, KAIST 가면 저것을 쳐야겠다.

중학교 때는 학교 음악실의 피아노가 점심시간마다 내 차지(?)가 되었고, 고등학교 때도 학교 강당의 피아노가 나와 피아노를 잘 치시는 한 선배, 그리고 역시 또 피아노를 잘 치는 친구 3명의 것이 되었다.
KAIST에 가면...? (응큼한 생각? -_-)
Posted
Filed under 살아가기, 생각하기
이 글을 보니 동감이 간다.

지금 졸업논문 심사가 불과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는데,
KAIST 합격 발표난 후 지금까지 한 게 별로 없다.
(그때가 9월 말쯤이었다)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대학 붙었다고 노가다(-_-)를 무지 많이 시키신 것이다.

이른바 '영재학급 프로젝트'(문제의...), '기숙사 관리 프로젝트'(이건 아직도 못 끝내서 내년초까지 연기되었다..), '학교 홈페이지 프로젝트'(이건 억지로 하기보다는 원래 더 하고 싶었던 거지만 문제의 영재학급 프로젝트 때문에 매우 늦어짐)....

사실, 좋게 생각하면 이런 프로젝트들을 하면서, 지적인 실력(?) 향상에는 별 도움이 안 되더라도, 여러 가지 경험을 쌓을 수 있다는 건 좋다. (예를 들어 강당에 붙이는 식순(전지로 ㅡ. 개회사, ㅡ. 누구누구 말씀... 하는 것)도 글자 크기를 몇 포인트로 해야 할지 알 수 있었다는 것.. 플로터를 사용하는 방법 등등..)

그런 경험의 가치를 높게 사야 할 것인가 아니면 내 공부를 더 중요하게 생각할 것인가? KAIST에서 그렇게 프로젝트들을 주는 사람들의 생각은 어떠할지.. (물론, 그곳에서의 프로젝트가 내가 했던 것과 같은 종류가 아니라, 연구 사업쪽이라고 한다)

아무튼, 그러다 보니 정작 졸업논문에 신경을 못 쓴 것이다.
제발 KAIST 가서도 이런 일이 있으면 안될텐데... ㅜㅜ..
Posted
Filed under 살아가기, 생각하기
이것저것 하면서 스킨도 바꾸고 하다가 갑자기 이 블로그의 관리자 모드 로그인이 안되는 것이었다. 음냐, 어떻게 된 거지? 분명히 잘 됐었는데....

그래서 텔넷으로 mysql 접속해서 테이블을 직접 확인했는데 해쉬값으로 잘 들어가 있었다. (근데 왜 안되지?)

실은 수정하려면 update 문을 써야 하는데(당연한..-_-) insert 문을 써 버렸더니 블로그가 제대로 안 뜨더라는..;;

일전에 잠깐 봤다가 다시 까먹은 SQL 문법을 뒤져 delete하고, (-_-) update 문으로 고쳤는데, 알고보니 원래 저장된 해쉬값과 동일했다. 우찌 된 거지,.?

아무튼 로그인이 잘 돼서 이렇게 글을 남겨본다..
(음.. 도대체 뭐하는 글인지..-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