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osted
- Filed under 살아가기, 생각하기/즐기기
저번엔 새내기 세미나를 기계공학동 금요음악회로 대신했었고, 그때도 감동받았지만, 오늘 보았던 겐조 다케히사의 하프시코드 연주는 내 생애 가히 최고의 연주로 뽑을 수 있을 것이다. 태어나서 모차르트 곡을 눈물이 나올 정도로 인상 깊게 감상했던 건 이번이 처음이고 아마 앞으로도 거의 그럴 수 없을 것이다.
겐조 다케히사는 1980년 동경 예술대학 및 대학원을 나왔고, 84년부터 쳄발로, 오르간, 포르테피아노, 하프시코드 등 바로크 시대 이후의 건반 악기들을 폭넓은 레파토리로 연주하기 시작한 음악가이다. 특히나 인상 깊었던 것은 그가 맹인이라는 사실이다. 건반 악기를 연주하면서 악보를 보지 못한다는 것은 그에게 매우 힘들었을 텐데, 오늘 연주했던 것만 해도 상당한 난이도가 있는 곡들이었다. 매년 50회 이상의 연주회를 하며 훼리스 대학 음악부 강사를 맡고 있다. 음반으로는 [건반 음악의 영역], [J.S.Bach의 오르간 작품집] 등이 있으며 저서로 [새로운 사람은 새로운 음악을 한다]가 있다.
오늘 연주했던 곡들은 작자 미상의 [Upon la-mi-re], D.Scarlatti의 [Sonatas in A major L208 & 209], Couperin의 [La Rosignol en Amour], J.K.Kerll의 [Cou-cou], J.Kuhnau의 [Biblical Sonata No.1 'The Combat betwwen David and Goliath'], 그리고 Bach의 곡을 자신이 직접 편곡한 [Ciaccona from Partita for unaccompanied violin No.2], W.A.Mozart의 [Variation on 'Ah vous di rai je, maman'], 마지막으로 W.A.Mozart의 [4손을 위한 소나타]였다. 마지막 곡은 보조 연주자로 다른 여자 피아니스트와 함께 연주했다.
하프시코드의 음색은 알고 있었지만, 실제 악기와 연주 모습을 보는 건 이번이 처음이었다. 처음의 세 곡은 일본에서 만든, 매우 화려한 장식(그야말로 'baroque' 스타일)의 하프시코드를 썼고, 그 다음부턴 계속 독일에서 만든 매우 단순한 장식(그저 회색빛깔의 초록색 페인트만 칠한 듯 보이는)의 하프시코드를 썼는데 둘의 음색이 약간 달랐다. (사실 난 뚜렷한 차이는 못 느꼈지만 독일제가 좀더 명료한 것 같다) 그리고 두 곡의 Mozart 곡을 칠 때 사용한 포르테피아노는 실제로 모차르트가 사용했던 것을 그대로 본떠 만든 것이라고 한다.
하프시코드는 현이 매우 얇고, 음높이에 상관없이 한 음당 무조건 두 줄로 되어 있다. 현을 때리는 것이 아니라, 건반을 누르면 현 사이에 있던 막대가 올라오면서 작은 깃털 조각으로 현을 퉁겨 소리를 낸다. 하프시코드의 건반은 오르간과 비슷하게 2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포르테피아노는 현대적인 피아노와 하프시코드의 과도기적 성격을 띠는 것으로, 현은 하프시코드와 거의 똑같지만 건반을 눌렀을 때 해머로 친다는 점이 다르다. 소리는 우리가 아는 피아노 소리에 고음부에서 약간 챙챙거리는 느낌이 더 난다고 보면 된다.
맹인이어서 그런지 몸의 자세가 다소 경직된 것같이 보였으나 점점 연주에 깊이 빠져들면서 아주 유연해지고, 또 어린아이처럼 발도 구르는 등 그야말로 어린아이가 피아노 앞에 앉아 호기심을 가지고 건반을 누르는 듯한 모습이 되었다. 자기가 마음 속에 담고 있었던, 그러나 겉으로 표현하지 못했던 감정들을 연주를 통해 쏟아내었고, 그것이 매우 순수한 열정으로 이루어지며, 그 표현 또한 세계적 수준의 연주 솜씨를 통한 것이었다는 점에서 눈물이 나지 않을 수 없었다.
살아있음에 감사하는 것. 마지막 곡인 모차르트의 네 손을 위한 소나타에서는 그야말로 내 평생 음악을 들으면서 도달하지 못했던 감동의 수준에 다다랐다. 피아노와 하프시코드를 두 연주자가 동시에 연주하면서 각자 자신의 열정을 쏟아내고, 음악을 통해 사람들을 기쁘게 하고 싶다는 그 순수한 마음이 온 몸으로 느껴졌다.
카이스트와 같은 곳에서, 내용이나 수준으로 보았을 때 실제 정식 공연이었다면 비싸서 갈 엄두도 내지 못했을 법한 그런 멋진 음악회를 들을 수 있다는 건 정말 감사할 일이다. 앞으로도 이런 공연 관람 기회가 더 확대되고, 또 더 많은 학생들이 알 수 있도록 홍보도 잘 되었으면 좋겠다.
겐조 다케히사는 1980년 동경 예술대학 및 대학원을 나왔고, 84년부터 쳄발로, 오르간, 포르테피아노, 하프시코드 등 바로크 시대 이후의 건반 악기들을 폭넓은 레파토리로 연주하기 시작한 음악가이다. 특히나 인상 깊었던 것은 그가 맹인이라는 사실이다. 건반 악기를 연주하면서 악보를 보지 못한다는 것은 그에게 매우 힘들었을 텐데, 오늘 연주했던 것만 해도 상당한 난이도가 있는 곡들이었다. 매년 50회 이상의 연주회를 하며 훼리스 대학 음악부 강사를 맡고 있다. 음반으로는 [건반 음악의 영역], [J.S.Bach의 오르간 작품집] 등이 있으며 저서로 [새로운 사람은 새로운 음악을 한다]가 있다.
오늘 연주했던 곡들은 작자 미상의 [Upon la-mi-re], D.Scarlatti의 [Sonatas in A major L208 & 209], Couperin의 [La Rosignol en Amour], J.K.Kerll의 [Cou-cou], J.Kuhnau의 [Biblical Sonata No.1 'The Combat betwwen David and Goliath'], 그리고 Bach의 곡을 자신이 직접 편곡한 [Ciaccona from Partita for unaccompanied violin No.2], W.A.Mozart의 [Variation on 'Ah vous di rai je, maman'], 마지막으로 W.A.Mozart의 [4손을 위한 소나타]였다. 마지막 곡은 보조 연주자로 다른 여자 피아니스트와 함께 연주했다.
하프시코드의 음색은 알고 있었지만, 실제 악기와 연주 모습을 보는 건 이번이 처음이었다. 처음의 세 곡은 일본에서 만든, 매우 화려한 장식(그야말로 'baroque' 스타일)의 하프시코드를 썼고, 그 다음부턴 계속 독일에서 만든 매우 단순한 장식(그저 회색빛깔의 초록색 페인트만 칠한 듯 보이는)의 하프시코드를 썼는데 둘의 음색이 약간 달랐다. (사실 난 뚜렷한 차이는 못 느꼈지만 독일제가 좀더 명료한 것 같다) 그리고 두 곡의 Mozart 곡을 칠 때 사용한 포르테피아노는 실제로 모차르트가 사용했던 것을 그대로 본떠 만든 것이라고 한다.
하프시코드는 현이 매우 얇고, 음높이에 상관없이 한 음당 무조건 두 줄로 되어 있다. 현을 때리는 것이 아니라, 건반을 누르면 현 사이에 있던 막대가 올라오면서 작은 깃털 조각으로 현을 퉁겨 소리를 낸다. 하프시코드의 건반은 오르간과 비슷하게 2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포르테피아노는 현대적인 피아노와 하프시코드의 과도기적 성격을 띠는 것으로, 현은 하프시코드와 거의 똑같지만 건반을 눌렀을 때 해머로 친다는 점이 다르다. 소리는 우리가 아는 피아노 소리에 고음부에서 약간 챙챙거리는 느낌이 더 난다고 보면 된다.
맹인이어서 그런지 몸의 자세가 다소 경직된 것같이 보였으나 점점 연주에 깊이 빠져들면서 아주 유연해지고, 또 어린아이처럼 발도 구르는 등 그야말로 어린아이가 피아노 앞에 앉아 호기심을 가지고 건반을 누르는 듯한 모습이 되었다. 자기가 마음 속에 담고 있었던, 그러나 겉으로 표현하지 못했던 감정들을 연주를 통해 쏟아내었고, 그것이 매우 순수한 열정으로 이루어지며, 그 표현 또한 세계적 수준의 연주 솜씨를 통한 것이었다는 점에서 눈물이 나지 않을 수 없었다.
살아있음에 감사하는 것. 마지막 곡인 모차르트의 네 손을 위한 소나타에서는 그야말로 내 평생 음악을 들으면서 도달하지 못했던 감동의 수준에 다다랐다. 피아노와 하프시코드를 두 연주자가 동시에 연주하면서 각자 자신의 열정을 쏟아내고, 음악을 통해 사람들을 기쁘게 하고 싶다는 그 순수한 마음이 온 몸으로 느껴졌다.
카이스트와 같은 곳에서, 내용이나 수준으로 보았을 때 실제 정식 공연이었다면 비싸서 갈 엄두도 내지 못했을 법한 그런 멋진 음악회를 들을 수 있다는 건 정말 감사할 일이다. 앞으로도 이런 공연 관람 기회가 더 확대되고, 또 더 많은 학생들이 알 수 있도록 홍보도 잘 되었으면 좋겠다.